본문 바로가기

간호학 케이스스터디

여성간호학 자연분만 case study

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여성간호학 자연분만 case study”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Ⅱ. 문헌고찰

Ⅲ. 간호사례
1. 간호사정
2. 진단적 검사 및 기타 자료
3. 치료 및 경과
4. 간호과정

Ⅳ. 결 론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일부

1. 정의
분만은 태아 및 그 부속물이 자궁수축으로 인하여 자궁경관이 개대되고 소실됨으로써 산도를 따라 질강 밖으로 만출되는 전 과정이다. 분만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5가지 요소에는 태아와 그 부속물(passenger), 산도(passage), 만출력(power)이 있으며, 영향을 줄 수 있는 산부의 자세 (position), 산부 스스로 아기를 분만하려는 심리적 반응(psychologic response)이 포함되는데 단어의 첫 자 모두 ‘P’로 시작되어 5P라고 일컫는다.

2. 분만단계
분만 시간은 사람에 따라 다를 수 있겠지만 초산부는 평균 14시간, 경산부는 6~8시간 정도 소요된다. 분만과정은 그 특징에 따라 4단계로 구분된다.

분만1기)
분만 1기를 잠재기, 활동기, 이행기의 세 단계로 구분되고 각 단계별 신체적/심리적 특징이 있다.
잠재기는 규칙적은 자궁수축과 함께 시작된다. 초산부의 경우 평균 소요 시간은 8.6시간이며, 보통 20시간을 초과하지 않는다. 잠재기 동안 자궁수축의 빈도와 기간, 강도는 모두 점차 증가하며, 임부는 통증과 자신의 불안감을 표헌한다.
활동기가 되면 임부는 심한 통증을 느끼며 불안이 증가하기 시작한다. 이 시기 동안 자궁경부는 4cm에서 7cm로 개대되며 태아가 점차 하강한다. 경부개대의 정도는 초임부의 경우 시간당 1.2cm이상이며, 경산부의 경우 시간당 1.5cm이상이다.
이행기는 분만 1기의 마지막 단계이다. 이행기 동안 자궁경부는 8cm에서 10cm로 개대되며, 개대 속도는 활동기에 비해 느려진다. 반면 태아의 하강 속도는 빨라져서 초산부는 시간당 1cm 이상 하강하며 경산부는 시간당 2cm 이상 하강한다. 초산부의 경우 이행기는 3시간을 넘지 않으며 경산부의 경우 1시간 이내이다. 이 시기의 임부는 매우 불안해하고 초조해하며 피로를 느끼게된다. 임부는 몸을 계속 뒤척거리며 혼자 있는 것을 두려워한다.

경부소실: 2~3cm 길이에 두께 1cm이던 자궁경부가 점차 짧아지면서 얇아지는 과정이다.

 

참고문헌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편. 여성간호학Ⅱ,수문사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여성간호학 자연분만 case study”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