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학 케이스스터디

성인간호학 cerebullar infarction 케이스

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성인간호학 cerebullar infarction 케이스”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Ⅰ. 서론
1. 문헌고찰

Ⅱ. 본론
1. 간호사정
2. 간호과정
1) 뇌 손상과 관련된 의사소통 장애
2) 부동과 관련된 피부손상

Ⅲ. 결론

참고 문헌

 

본문내용일부

1. 서론
1) 정의
뇌조직은 평상시에도 많은 양의 혈류를 공급받고 있다. 하지만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뇌혈관에 폐색이 발생하여 뇌에 공급되는 혈액량이 감소하면 뇌조직이 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하게 된다. 뇌혈류 감소가 일정 시간 지속되면 뇌조직의 괴사가 시작된다. 뇌조직이 괴사되어 회복이 불가능한 상태에 이르렀을 때를 뇌경색이라고 한다.
소뇌는 위소뇌동맥, 앞아래소뇌동맥, 뒤아래소뇌동맥의 3개의 동맥에서 영양을 공급받는다. 소뇌경색은 뒤아래 소뇌동맥 관류영역인 소뇌뒤아래면에 호발한다.
증상은 현기증, 구토가 나타나며, 소뇌실조증상을 초래하며, 뇌부종으로 인해 뇌줄기가 압박을 받아, 의식장애의 급격한 악화나 호흡정지를 일으킬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이는 중장년으로 동맥경화의 위험인자 고혈압, 당뇨병, 지질이상증, 흡연, 과도한 음주를 하는 사람 또는 심장질환이 있는 사람에게서 호발한다.

2) 증상
소뇌경색에서는 두통, 현기증, 구역질, 구토와 함께 여러 가지 소뇌실조 증상이 나타난다. 그리고 보행, 균형, 협응에도 문제가 나타나는데 소뇌경색이 있는 경우 전혀 걷지를 못하거나 혼수상태에 빠지게 되며 몸을 떨게 되기도 한다. 또한, 현기증을 초래하는 다른 질환과의 감별이 중요하며, 뇌부종에 의한 의식장애, 호흡장애가 나타날 때는 주의가 필요하다.

<중 략>

"뇌 손상과 관련된 의사소통 장애"
간호계획:
1. 주기적으로 비언어적 의사표현을 관찰한다.
2. 지남력 수준을 하루에 한 번 사정한다.
3. 짧고 간단한 대답이 요구되는 대화를 시도한다.
4. 비언어적 기술을 교육한다.
5. 반응이 없어도 꾸준히 말을 걸고 시청각자극을 제공한다.

부동과 관련된 피부손상
간호계획
1. 부종이나 발적이 발견된 부분의 크기, 색, 냄새, 분비물의 양과 양상 등을 주기적으로 사정한다.
2. 욕창 방지 매트리스나 방석을 사용하도록 한다.
3. 피부를 깨끗하고 건조하게 유지한다.
4. 2시간 마다 대상자의 체위를 변경해준다.
5. 대상자는 피부손상 관리법을 3가지 이상 수행할 수 있다.
6. Brander score를 사용하여 욕창 위험도를 사정한다.

 

참고문헌

간호과정과 비판적사고 제2판/ 현문사/ 원종순, 김남초 외/2010.08.08.
제5판 병리학/ 현문사/ 김양호 외 / 2016.02.25.
new 병리학 (제6판)/ 지구문화사/ 김주성, 신용철 외/ 2014.07.28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842599&cid=56740&categoryId=56740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996
제4판 기본간호학Ⅱ/ 현문사/ 양선희, 원종순 등 / 2020.01.20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성인간호학 cerebullar infarction 케이스”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