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학 케이스스터디

아동 급성위장염 케이스스터디 간호진단 7개, 간호과정 2개

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아동 급성위장염 케이스스터디 간호진단 7개, 간호과정 2개”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Ⅱ. 간호과정
Ⅲ. 사례 아동의 문헌고찰
Ⅳ. 활력징후
Ⅴ. 검사 결과 (lab, X-ray, 특수검사 등)
Ⅵ. 투여약물
Ⅶ. 간호기록지
Ⅷ. 간호과정 적용
Ⅸ. 결론
X. 참고문헌

 

본문내용일부

1. 정의 및 원인
정의 : 급성 위장염은 집단 바이러스, 박테리아, 기생충이 원인이며, 심각한 감염성 설사, 전해질 소실, 패혈증 심할 경우 사망을 일으키는 질병이다. 급성의 위 및 장의 염 증, 식중독 등으로 발생하며 식욕부진, 오심, 구토, 복통, 설사, 발열, 전신권태감 등을 가져온다. 소아와 고령자의 경우 탈수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원인 : 오염된 음식 또는 물의 섭취, 사람들 사이의 오염은 감염성 위장염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 높은 위험 집단은 보육원, 유치원, 오랫동안 육아 시설에 맡겨진 아동과 인체 면역력이 약화된 아동이다. 또한 위장염은 바이러스, 박테리아, 기생충과 같은 원인균이 음식이나 대변, 입, 사람과의 접촉을 통해 전염된다.
흔한 원인균으로는 E. coli, Rota virus, enterotoxigenic, 살모넬라, 이질균, Giardia 등이 있고 Giardia는 보육원 내 아동에게 나타나는 가장 일반적인 병원균 이다. 로타 바이러스는 위장관염을 일으키는 가장 흔한 바이러스로 5세 미만 아동 사이에 설사로 인하여 사망하는 아동의 29%를 차지한다.

2. 병태생리
1) 위장염의 종류
①세균성 장염
세균성 장염은 심한 복통을 보이고 대변에 잠혈이나 백혈구가 더 자주 나타나며 설사는 평소보다 대변이 묽으며 대변 횟수가 하루 3회 이상이거나 대변 양이 하루 200g 이상인 경우로 정의되는데 이러한 설사는 기전에 따라 염증성 원인과 비염증성 원인으로 나눌 수 있다.염증성 원인인 경우 이질 증상이 두드러지고 대변은 소량씩 자주 보고 고열, 심한 복통을 동반하며 비염증성 원인인 경우 수성 설사가 특징적이며 대변에 잠혈이나 백혈구 세포가 보이지 않으며 보통 열이 없고 복통이 심하지 않다.

②바이러스성 장염
바이러스성 장염은 대개 바이러스 감염 후 1~2일에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하여 보통 약 1~4일 동안 지속되나 10일까지 지속되는 경우도 있다. 오염된 조개류를 덜 익혔거나 날것으로 먹은 경우 주된 감염원이 되고, 감염 경로는 경구-분변 경로를 통해 감염된다.

 

참고문헌

간호진단 정의와 분류 2015-2017 국제간호진단협회 (정담미디어) ISBN 9788960695702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Meg Gulanick, Judith L. Myers (현문사) ISBN 9788966309108
건강증진을 위한 아동건강 간호학 박충선 외 공저 (퍼시픽북스)
아동간호학 총론, 각론 (현문사)
간호과정 제 3판 최순희 외 (현문사)
비트드러그인포 –의약정보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아동 급성위장염 케이스스터디 간호진단 7개, 간호과정 2개”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