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물산장려운동의 이해”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https://blog.kakaocdn.net/dn/tC79Q/btssN3OE8LE/QKVff7UROv0SsgKMGR8G2k/img.png)
목차
Ⅰ. 머리말
Ⅱ. 일제하 물산장려운동의 배경
Ⅲ. 조선물산장려운동의 전 과정
Ⅳ. 이 운동의 역사적 성격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일부
Ⅰ. 머리말
일제하의 전형적인 부르주아 주도 민족운동으로, 한편에서 인식되어 온 물산장려운동의 이념과 성격을 밝히는 일은 일제하 민족운동의 추이를 밝히고 나아가 민족운동의 성격을 규명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과제라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1920년대 초반의 물산장려운동을 민립대학 설립운동과 아울러, 민족운동이 분화되기 직전의 운동으로 취급하려고 해왔다. 이에 따라 지금까지 물산장려운동은 일제하 민족운동사의 서술에서 매우 중요하게 다루어져 왔고 연구자들의 많은 관심을 끌어왔다.
물산장려운동에 대한 기존의 이해태도는 대체로 2개의 경향으로 나뉜다. 먼저 물산장려운동을 1920년도 초반의 실력양성운동 가운데서도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운동으로 여기고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경향인데 이는 3갈래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첫째, 무저항적인 항일투쟁으로 보아 적극적으로 평가하는 시각과 둘째, 민족기업육성 또는 기업실천운동으로 평가하는 시각이 있다. 다음으로는 민족기업의 구제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는 시각이 있다.
둘째 경향으로는 물산장려운동을 민족운동의 대표격으로 평가하지 않는 시각을 둘 수 있다. 그 가운데는 물산장려운동을 조선인자본가들의 자본축적운동으로 평가하는 시각이 있다.
셋째는 물산장려운동을 민족주의 운동 이념의 변용 과정에서 나타난 운동으로 실패할 수밖에 없었던 민족운동으로 보는 시각이 있다. 이와 아울러 사주에 의해 일어난 타협적 운동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
Ⅱ. 일제하 물산장려운동의 배경
1차 대전 이후의 호황을 기회로 1910년대 말에는 조선인 토지자본을 중심으로 한 사회열(社會熱)이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었다. 그러나 조선인 토지자본에 대한 투자는 아직 금융신탁업으로 몰려 이자의 획득을 노리거나 유통부문에 기생하여 상업적인 이익을 노리는 정도에 머물러 있었다. 따라서 사업부문 특히 공업부문에 투자되어 생산적인 활동을 하는 자본은 매우 드물었으며 설사 산업부문에 투자되었다고 하더라도 일본인의 대규모 자본에 대항할 만한 힘을 가지지는 못했다.
참고문헌
윤혜동, 1992, <일제하 물산장려운동의 배경과 그 이념 > <한국사론》 27, 서울대 국사학과
조기준, 1977, <조선물산장려운동의 전개과정과 그 역사적 성격> <역사학보》 41
홍순권, 1994, <상권수호와 직산홍업운동> <한국사> 12, 한길사
이현희, 1973, <1920년대초의 민족실력 양성운동-자작회. 조선물산장려회의 활동>, <대구사학> 7.8합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물산장려운동의 이해”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글쓰기 ) 1. 토론대회와 방송토론의 유사점과 차이점은 무엇인지 설명하라. 2. 대학생토론대회 심사위원이 되어서 두 팀의 장단점을 설명하라. (0) | 2023.09.04 |
---|---|
우리나라의 장수 제품 중에서 한 가지를 선정하여, 그 제품이 성공하기까지의 마케팅 전략을 설명 (0) | 2023.09.01 |
청소년 분야에 대한 문헌 고찰 (0) | 2023.08.31 |
문명과 건설환경 - 텀페이퍼 (0) | 2023.08.31 |
가족복지론 이혼가족 관련 레포트 (0) | 2023.08.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