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우리나라의 장수 제품 중에서 한 가지를 선정하여, 그 제품이 성공하기까지의 마케팅 전략을 설명”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TM9S/btssIo7lyRn/PHbgA8l1hcSiWEFFyOvUKK/img.png)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우리나라의 장수 제품 중 진로 소주 ‘참 이슬’
2. ‘참 이슬’의 성공하기까지의 마케팅 전략
1) 소비자 분석
2) 경쟁 환경 분석
3) 자사 환경 분석
4) 해외 마케팅
3. 나의 의견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일부
Ⅰ. 서론
한국인의 사회적 모임이나 집안 모임에는 술이 없는 경우가 거의 없다. 스트레스를 해소하거나 좋은 사람을 만날 때, 피로할 때, 갈증이 날 때, 마음속에 쌓인 응어리를 풀 때에도 술을 마셔야 쉽게 풀리고 술을 마시면서 서로의 속마음을 터놓고 친해질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처럼 술은 집단의 결속력을 강화시켜주거나 사교의 촉매제라는 인식이 널리 퍼져 있다. 1990년대부터는 경제적, 문화적 여유가 생기면서 건강을 염려하기 시작했고, 여성 음주인구가 증가하였으며, ‘가볍게 한두잔’이라는 음주경향으로 와인과 위스키 등의 소비량이 크게 증가하게 되었다. 술을 일상생활의 활력소 또는 사교의 도구, 여가 생활의 일종으로 생각하여 술 자체를 마시기보다는 즐기는 풍토가 자리 잡고 있다. 따라서 본론에서는 우리나라의 장수 제품 중에서 한 가지를 선정하여, 그 제품이 성공하기까지의 마케팅 전략을 설명해 보겠다.
Ⅱ. 본론
1. 우리나라의 장수 제품 중 진로 소주 ‘참 이슬’
1966년 진로 소주의 제조업체인 ‘서광주조’는 상호를 ‘진로주조주식회사’로 변경하고 제품 브랜드 이름인 ‘진로소주’가 전국적으로 유명해짐에 따라 오늘날‘眞露(참이슬)’이라는 브랜드는 중요한 브랜드 자산이 되었다.1974년 순한 소주를 둘러싼 경쟁으로‘순한’ 25도 소주가 나오면서 주당들의 입맛을 사로잡고, 알코올 도수 25도는 소주의 대명사가 되었다. 이 시기 우리나라의 주류음료 생산은 전형적인 소비재산업으로 국민의주요 기호품을 생산하는 동시에 원료의 대부분을 농산물로 충당하는 재료집약적 산업으로서 제품 간의 대체성이 매우 커서 주류제조 및 유통이 엄격히 통제되었으며, 1973년에 68개였던 소주 업체가 1975년에는 16개 업체, 1976년에는 12개 업체, 1980년 11개 업체로 감소하였다. 1980년대 초반 까지 소주시장은 ‘진로(眞露)’의 독주 체제와 지역별시장으로 분할되어 오다 1986년 ‘아시안 경기’와 88년 ‘올림픽 경기’를 기점으로 단일 브랜드에서 다양한 브랜드가 출시되었다. 1990년 주세법 개정 이후 ‘순한 소주’에 대한 관심과 곡물주정허용으로 혼합식 소주가 출시되었으며 1991년 7월부터는 25도 이하의 제품도 가능하게 되었다.
참고문헌
박종오·권오영·편해수(2015), 마케팅, 북넷.
정애숙(2015), 우리나라 주류 및 음주 정책의 변천과 과제. 보건복지포럼.
邹一晖(2012), "진로 참이슬 중국시장의 마케팅 전략", 对外经济贸易大学硕士论文.
김길수(2010), 한국 주류산업의 지원·규제·조세 정책에 관한 연구, 정치·정보연구.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우리나라의 장수 제품 중에서 한 가지를 선정하여, 그 제품이 성공하기까지의 마케팅 전략을 설명”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주그룹의 MCM 마케팅 전략 분석 (0) | 2023.09.04 |
---|---|
글쓰기 ) 1. 토론대회와 방송토론의 유사점과 차이점은 무엇인지 설명하라. 2. 대학생토론대회 심사위원이 되어서 두 팀의 장단점을 설명하라. (0) | 2023.09.04 |
물산장려운동의 이해 (0) | 2023.09.01 |
청소년 분야에 대한 문헌 고찰 (0) | 2023.08.31 |
문명과 건설환경 - 텀페이퍼 (0) | 2023.08.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