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

문명과 건설환경 - 텀페이퍼

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문명과 건설환경 - 텀페이퍼”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I. ‘탄소중립’은 대체 무엇인가?
(ⅰ) ‘탄소중립’이란?
(ⅱ) 탄소가 지구에 미치는 영향
(ⅲ) 탄소중립이 필요한 이유

II. 탄소중립을 위한 노력
(ⅰ) 탄소배출권
(ⅱ) ESG 경영
(ⅲ) 신재생 에너지
(ⅳ) CCUS

III. 마치며

IV. 참고문헌

 

본문내용일부

Ⅰ. ‘탄소중립’은 대체 무엇인가?

(ⅰ) 탄소중립이란?
요즘 뉴스를 보면 가장 많이 들을 수 있는 단어가 바로 ‘탄소중립’인데 왜 이렇게 뜨 거운 주제인지 궁금해서 조사하게 되었다. 탄소중립이란, 인간의 활동에 의한 온실가스 배출을 최소화하고, 남은 온실가스는 흡수 혹은 제거해서 실질적인 배출량을 0으로 하 는 개념으로 배출되는 탄소량과 흡수되는 탄소량을 같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2050탄 소중립, 2021) 그렇다면 탄소 배출을 줄이려고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ⅱ) 탄소가 지구에 미치는 영향
지구는 산업혁명 이후 빠르게 온난화되고 있다. 1850년 이래 섭씨 약 1.1도나 상승 했는데 그 이유는 탄소( CO2) 때문이다. 위 그래프는 1950년대부터 측정한 대기 중 평 균 이산화탄소 농도의 증가세를 보여준다.
탄소는 화석 연료를 태우게 되면 발생한다. 이 탄소는 태양으로부터 들어오는 짧은 파장의 태양 복사에너지는 통과시키는 반면 지구로부터 나가려는 긴 파장의 에너지는 흡수하여 지표면을 보온하는 역할을 해 지구 대기의 온도를 상승시키는데 이를 ‘온실 효과’라고 한다. 이러한 온실효과가 과도하게 되면 지구의 표면 온도가 과도하게 증가 하게 되고 이를 ‘지구온난화’라고 한다. (기후변화홍보포털, 2020)

(ⅲ) 탄소중립이 필요한 이유
전 세계는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2015년 파리협정에서 지구 평균온도 상승을 막기 위한 노력 추구를 장기 목표로 설정했다.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 의 크기와 발생확률을 고려했을 때 2100년까지 온도상승을 섭씨 2도 이하로 안정시키 기 위한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 2100년까지 온도상승을 섭씨 2도 이하로 안정화를 위 해서는 2050년까지 탄소 중립을 이루어야 달성이 가능하기 때문에 탄소 중립이 중요 한 것이다.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2020)

만약 지구온난화로 온도가 2도 이상 상승하게 되면 바닷속 산호의 99%가 사라지고 상당수의 생물이 절반 이상 사라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태성환 , 지금 스마트머니는 탄소에 투자한다, 한빛비즈(2010), p39~p63
신문기사
채여라, “탄소 중립 VS 현상 유지...시나리오 별로 살펴보니”,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2020.12.11. 열람
유용하, “지구 온도 2도 오르면 산호 99%·생물 절반 이상 사라진다”, 서울신문, 2021.12.16. 열람
안수언, “독일 기업들의 탄소중립 실천사례”, KOTRA 해외시장뉴스, 2021.12.16. 열람
권선연, “일론 머스크도 찾는 탄소포집(CCUS)기술이란?”, KOTRA 해외시장뉴스, 2021.12.16. 열람
Samuel Lee, “美 태양광산업 현황”, KOTRA 해외시장뉴스, 2021.12.16. 열람
글/논문
전재완,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한 CCUS 기술”, KOSEN Reaport 2021
웹페이지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탄소중립 2050”, 2021.12.09. 열람
https://www.korea.kr/special/policyCurationView.do?newsId=148881562
2050 탄소중립, 2021.12.16., https://www.gihoo.or.kr/netzero
기후변화홍보포털, 2021.12.16., https://www.gihoo.or.kr/portal/kr/main/index.do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문명과 건설환경 - 텀페이퍼”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