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가족복지론 이혼가족 관련 레포트”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w6pNn/btssvd0cYHg/7teaBIuyRBHeoyJSV9WeK1/img.png)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이혼가족의 실태
2. 이혼가족의 문제점
3. 서비스 개입 현황 및 소개
4. 프로그램의 한계점
Ⅲ. 결론
본문내용일부
지난 5월에 방영을 시작한 JTBC 부부관찰 예능, <1호가 될 순 없어>가 화제이다. 이 프로그램은 지금까지 이혼한 부부가 전혀 없다는 코미디언 부부들의 일상을 숨김없이 보여주는 예능이다. 출연진 부부들은 흔히 TV에서 보이던 이상적인 부부들보다 현실적이다. 행복할 것만 같은 결혼생활에는 갖가지 변수가 많다는 사실을 알려주며, ‘아직 이혼 1호(이혼을 한 부부)가 없다. 모두 이혼 1호가 나오길 기다리고 있다.’라고 대놓고 말하고 있다. 즉, 이 프로그램은 단편적으로라도 이혼은 잘못되거나 이상한 행위가 아니라고 말하고 있다. 하지만 결국 <1호가 될 순 없어>는 아무리 싸워도 서로 견디면서 결국은 유지되는 부부관계를 보여준다. 그리고는 매 회 마지막 무렵에 ‘다행히’ 이혼 1호가 생겨나지 않았다고 말한다. 즉, 이 프로그램은 시련을 이겨내며 결혼을 유지하고 있으며, 그 시련은 부부싸움이자 이혼이라는 것을 암시하고 있다(단비뉴스, 2020.10.16.).
<1호가 될 순 없어>가 이혼을 어떻게 표현하든, 이혼이 예능으로 자리 잡을 수 있을 정도로 인식이 어느 정도는 개선되었으며 더욱 개선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이혼을 경험한 가족구성원은 이혼의 부정적인 편견을 받게 된다. 이로 인해 사회적 네트워크가 축소되고 사회적 고립 등으로 사회적 지지체계 형성에 어려움을 보일 수 있다(최정숙 외, 2020). 이러한 이혼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개선되기 위해서는, 먼저 이혼을 주제로 대화를 쉽게 할 수 있는 사회적 분위기가 조성되어야 한다. <1호가 될 순 없어>가 이혼을 적절히 표현했다고 말하기에는 부족함이 있지만, 어렵고 무겁게만 느껴졌던 이혼을 ‘누구에게나 일어날 수 있다’고 표현했다고 볼 수 있다.
이혼에 대해 이야기하고 서로 의견을 나누기 위해서는 이혼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법률 상 이혼이란 ‘완전 유효하게 성립한 혼인의 당사자인 부와 처가 살아 있는 동안에 그 결합관계를 해소시킴으로써 혼인으로 인하여 발생했던 일정의 효과를 소멸시키는 것’을 말한다(서혜석 외, 2020).
참고문헌
서혜석·강희숙·이미영·이성희·채인석. 2020. ·가족복지론·. 어우리.
최정숙·강향숙·김경의·김선민·김유정·김주현·김지혜·박형원·백형의·우재희·이영선·이예승·이인정·이혜경·임정원·장수미·정선영·한인영. 2020. ·가족복지론·. 학지사
주소희. 2003. “부모이혼에 대한 아동의 지각과 이혼가정자녀의 심리, 행동적응문제와의 관계”. 한국가족복지학 12권0호 : 192-193
“총 이혼건수 및 조이혼율” (접근일: 2020년 11월 9일). e-나라지표,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579.
통계청. 2020. “2019 혼인 이혼 통계”
「가족관계」한부모가족교육_하나뿐인내편2. (접근일: 2020.11.14.). 건강가족지원센터.
「비대면」한부모가족교육. (접근일: 2020.11.14.). 건강가족지원센터.
「가족돌봄」 한부모 취업역량강화를 위한 바리스타 양성과정 "라떼(latte)는 말이야". (접근일: 2020.11.13.). 건강가족지원센터.
「영등포구」여성1인가구 및 한부모모자가정 안심홈세트 지원사업 “안전한!홈즈”. (접근일: 2020.11.14.). 건강가족지원센터.
단비뉴스. 2020.10.16. “‘이혼’은 안 된다는 시대착오 부부 예능” (접근일: 2020.11.13). http://www.danbi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3669.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가족복지론 이혼가족 관련 레포트”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소년 분야에 대한 문헌 고찰 (0) | 2023.08.31 |
---|---|
문명과 건설환경 - 텀페이퍼 (0) | 2023.08.31 |
발달심리학 정리 (0) | 2023.08.30 |
[산업안전보건법] 중대재해처벌법에 따른 안전,보건확보의무 강화를 위한 산업안전보건법의 개선과 강화 (0) | 2023.08.30 |
중환자실 장비 학습 (0) | 2023.08.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