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환경분석실험]COD TOC BOD”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y0fUT/btsnfEGtxSL/fbQqslGZbgSUEykK5LymfK/img.png)
목차
1. 실험 이론 및 원리
2. 실험 기구 및 시약
3. 실험 방법
4. 주의 사항
5. 실험 결과
6. 토의 사항
7. 참고 문헌
본문내용일부
1. 실험 이론 및 원리
가. 실험 배경
BOD는 유기물의 양을 측정하는 수질 지표로서 호기성 미생물에 의해 분해된 유기물의 양을 호기성 미생물이 소비한 산소의 양으로 환산하여 측정한다. 이건 오염 농도의 단위(Strength)이다. 그런데 다행히 유기물들이 생분해성유기물이라서 호기성 미생물에 의해 분해가 되면 BOD로 측정이 가능한데, 만약 난분해성(인위적 합성)유기물이 들어온다면, 그땐 COD를 사용하여 그 양을 측정해야한다.
COD는 박테리아가 분해하지 못하므로 화학적산화제를 사용하여 빠르게 생분해성유기화합물, 난분해성유기화합물을 다 분해시켜버린다. BOD에 비하면 측정시간이 확실히 빠르다. BOD는 호기성박테리아가 생분해성유기화합물을 5일동안 분해시키는데, COD는 단 30분내면 생분해성 유기물화합물과 난분해성유기화합물 합친 유기물양을 알 수 있다. 원리는 간단히 말하면 과망간산칼륨 같은 산화제가 유기물을 산화시키는데 이 때 소모된 산환제의 양을 측정하고, 산화될 때 전자이동량(당량)에 상응하는만큼의 양을 산소로 환산하는 것이다. 흐르는 유수에서는 BOD, COD를 모두 사용할 수 있으나, 호수처럼 정체되어 있거나 바다처럼 살아있는 algae가 많은 곳은 보통 COD로 유기물의 양을 측정한다. 정체된 물엔 식물성 플랑크톤이 있다. 식물성플랑크톤은 조류(algae)라고 부르는데 살아있는 것은 BOD로 측정이 불가하다. 따라서 살아있는 algae까지 분해시키려면 COD를 사용해야 한다.
그리고, TOC란 영어로 Total Organic Carbon이라고 한다. TOC는 BOD와 COD를 대체하는 수질지표가 되어가고 있는데 그 이유는 짧은 측정 시간과 한번에 다량을 측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서다. 또한 생분해성유기물과 난분해성유기물의 양을 모두 알 수 있기 때문이다. TOC의 원리를 살펴보자.
유기물을 태워서 수증기는 날려보내고 남은 유기물들이 연소하여 의 형태로 나타난다. 이 는 온실효과를 일으키는 온실기체이므로 적외선을 쏘면 온실효과가 일어난다.
참고문헌
수질환경오염 시험법, 동화출판, 김복현 외 5명, p.75∼87
수질분석 및 수처리 실험, 동화출판, 김형석 외 2명, p.78∼83
환경화학, 시그마프레스, Colin Baird, p.30∼317
공정시험법주해, 동화기술, 최규철, 김무식외 2명, p.180∼201
수질공정시험, 동화기술, 김동명, p.48∼57
환경분석화학, 세종출판사, 박승조, p.137∼147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환경분석실험]COD TOC BOD”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
'실험보고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베르누이식 응용 [단조실험 레포트] (0) | 2023.07.11 |
---|---|
단백질 검정 실험 (0) | 2023.07.11 |
피자 오븐의 효율적인 배치를 통한 열유동해석 (영어 발표 ppt 자료 및 레포트) (0) | 2023.07.10 |
[아주대 생명과학실험] 개체군의 성장 실험 보고서 (0) | 2023.07.07 |
분석화학실험 실험9 Preparation of sodium thiosulfate standard solution Analysis of commercial hypochlorite by iodometric titration 예비+결과레포트 (0) | 2023.07.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