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아주대 생명과학실험] 개체군의 성장 실험 보고서”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https://blog.kakaocdn.net/dn/pXFwp/btsmMJasd6z/VKNKQ17wgkAilx1hJqHj0k/img.png)
목차
1. 실험 주제
2. 실험 목적
3. 실험 원리
4. 실험 방법
5. 실험 결과
6. 고찰
7. 참고문헌
본문내용일부
1. 실험 제목
개체군의 성장
2. 실험 목적
대장균 배양 실험을 통해, 개체군 크기 증가에 영향을 주는 서식 환경 요인과 환경 수용성에 대해 학습한다.
3. 실험원리
3.1 r/k 선택이론
상이한 조건에서 종들의 개방된 적응 선택의 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이론. r은 개체당 증가율을, k는 환경수용능력을 의미한다.
R selected species 특징 : 생식률이 높다. 식물, 어류, 쥐 등과 같이 크기가 작다. 수명이 짧고 생식시기가 빠르다. 개체수가 쉽게 조절된다.
K selected species 특징 : 생식률이 낮다. 사람, 고래, 코끼리 등 포유류 대부분이 이에 속하고 크기가 크다. 수명이 길고 생식시기가 느리다. 고밀도의 개체군을 형성하고 생활사가 길다.
3.2 개체군
같은 서식지 내 서식하는 생물 개체들의 집단으로, 생물들은 상호 의존적이기 때문에 단독으로 살아가지 못하며 개체군 내에서 세력권, 순위제, 리더제와 같은 상호작용을 해 집단으로 생활한다. 환경의 급격한 변화로 인해서 개체수의 변화가 크게 일어나는 대발생 현상이 일어나기도 한다.
3.3 개체군 생장 곡선
한 개체군의 개체수가 증가하는 것을 시간에 따른 그래프로 나타낸 것. 외부 자극 없이 증식하는 이론적인 생장 곡선인 지수적 생장곡선(J형 생장 곡선)과 환경 저항을 겪는 실제 생장 곡선인 로지스트형 생장곡선으로 구성된다.
3.3.1 내적증가율(r)
생물이 도달할 수 있는 최대 증가율이다. 맬서스 계수라고도 하며 내적증가율 이상과 실제 생장의 오차를 잡아주고 r값에 의해 개체군 생장에 한계가 정해진다. 개체군이 수용능력이 이르면 성장률은 0이 된다.
3.3.2 환경 수용력(K)
한 서식지에서 최대로 증가할 수 있는 개체 수의 한계. 물, 빛, 영양물질, 공간 등의 환경저항 요인에 의해서 결정되며, 환경 수용력을 넘은 개체수도 환경 저항에 의해 환경 수용력 이내로 개체의 수가 조절된다.
3.3.3 환경 저항
생물 개체의 생장을 저해하는 요인. 개체군 밀도 상승에 따른 노폐물 및 질병의 증가, 개체 수의 과도한 증가, 생존 경쟁과 천적의 증가, 환경 오염 등과 같은 원인으로 발생한다.
참고문헌
r/K selection theory, Wikipedia, https://en.wikipedia.org/wiki/R/K_selection_theory, (2022.05.08)
Liebig's Law of the Minimum, ScienceDirect, https://www.sciencedirect.com/topics/agricultural-and-biological-sciences/liebigs-law-of-the-minimum
Escherichia coli, Wikipedia, https://en.wikipedia.org/wiki/Escherichia_coli, (2022.05.25)
Phases of the Bacterial Growth Curve, ThoughtCo. https://www.thoughtco.com/bacterial-growth-curve-phases-4172692, (2018.09.19)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아주대 생명과학실험] 개체군의 성장 실험 보고서”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
'실험보고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환경분석실험]COD TOC BOD (0) | 2023.07.11 |
---|---|
피자 오븐의 효율적인 배치를 통한 열유동해석 (영어 발표 ppt 자료 및 레포트) (0) | 2023.07.10 |
분석화학실험 실험9 Preparation of sodium thiosulfate standard solution Analysis of commercial hypochlorite by iodometric titration 예비+결과레포트 (0) | 2023.07.07 |
하수처리장의 유출수의 총인 농도 보고서 (0) | 2023.07.06 |
[부산대 일반물리학실험2]전류가 만드는 자기장 (0) | 2023.07.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