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행복한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인지심리학] 실제 범죄를 저지르지 않은 사람이 여러분들에게 변호를 의뢰한 경우 유일한 증거는 목격자의 기억이며 이 사람을 어떻게 변호할 수 있는지에 대해 예를 들어 자세히 기술하시오.”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오 기억의 특징과 발생원인
2. 기억의 취약성과 사례
3. 변호 방법
Ⅲ. 결론
본문내용일부
Ⅰ. 서론
인간은 여러 가지 정보를 받아들이고, 시간이 지나면 그 정보를 망각한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가 받아들이는 정보는 대부분 시간이 지나면서 잊혀지고, 왜곡의 과정을 거치면서 오 기억이 일어나기 쉽다. 이렇게 오 기억이 자주 일어나고, 자연스러운 사람들은 리플리 증후군을 의심해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지만 우리는 가끔 일상생활에서 오래된 기억을 떠올릴 때 상상을 하여 실제로는 일어나지 않았던 그 기억을 그대로 믿게 되는 경우도 생긴다.
기억은 추상적이며 형태가 없고, 오로지 기억의 대상의 진술에 의존하기 때문에 진술자의 객관성 확보가 중요하다. 같은 기억을 공유하지 않은 청자는 기억의 대상인 진술자가 말하는 대로 그 기억을 받아들이게 된다. 따라서 변호를 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기억의 특성을 파악해야하며 진술자의 진술에만 의존해서는 안된다. 본고에서는 실제 범죄를 저지르지 않은 사람이 변호를 맡긴 경우 어떻게 변호를 할지에 대해 오 기억의 특성에 유의해서 서술해보고자 한다.
Ⅱ. 본론
1. 오 기억의 특징과 발생원인
오기억이란 실제 발생하지 않은 사건을 기억하거나 정보의 출처를 혼돈하여 상상했던 일을 실제 일어났던 것처럼 착각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오기억은 기억이라기보다 자신이 상상해서 만들어내는 이야기나 착각이라고 볼 수 있다. 인간은 누구나 기억의 왜곡인 오기억을 하는 경우가 있다. 오 기억은 연합된 여러 연관 단서에 의해 발생하게 된다. 여러 가지 실험에 의해 오 기억이 일어날 수 있음이 증명되었다. 연관된 정보를 제공하면 사람들은 그 정보와 관련지어서 왜곡된 기억을 하게 된다.
기억의 왜곡은 심리적, 환경적 요인의 영향에 의해 재구성된다. Schacter는 시간의 경과에 따른 망각인 일시성(transience), 주의 부족으로 인한 부호화 인출실패로 나타나는 방심(absent mindedness), 저장된 정보가 순간적으로 떠오르지 못하는 차단(blocking), 기억의 출처를 잘못 귀인하는 오 귀인(misattribution), 현재의 지식과 신념에 의해 기억이 왜곡되는 편견(bias), 외상 후 기억과 같은 원하지 않는 기억 속에서 계속 떠오르는 집착(persistence) 7가지로 나눈다. 이렇게 기억의 왜곡이 일어나는 요인이 다양하기 때문에 기억의 객관성 확보가 중요하다.
참고문헌
권석만 저, 인간관계 심리학, 학지사, 2013
위와 같이 깔끔하게 정리가 되었나요?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인지심리학] 실제 범죄를 저지르지 않은 사람이 여러분들에게 변호를 의뢰한 경우 유일한 증거는 목격자의 기억이며 이 사람을 어떻게 변호할 수 있는지에 대해 예를 들어 자세히 기술하시오.”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
'사회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복지학개론 ) 보험료의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국민연금의 문제점을 찾아보시고 그에 따른 해결책을 제시해보시오. (0) | 2023.02.08 |
---|---|
보육교사의 자질과 역할에 대해 논하시오. (0) | 2023.02.06 |
현실공간에서의 나와 사이버공간에서의 나의 모습 중 같은 점과 다른 점에 대해 각각 구체적으로 서술하시오. (0) | 2023.02.06 |
하수처리장의 유출수의 총인 농도 보고서 (0) | 2023.02.03 |
욕구란 현재의 결핍된 상태와 원하는 상태 간에 존재하는 격차를 의미한다. 연구자가 클라이언트의 욕구를 파악하는 데 필요한 지식이 있다면 무엇인지 쓰고 그 이유를 설명하시오. (0) | 2023.0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