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학 케이스스터디

여성간호학 자궁근종 케이스스터디 (감염위험성, 수면양상장애, 통증)

안녕하세요!! 행복한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여성간호학 자궁근종 케이스스터디 (감염위험성, 수면양상장애, 통증)”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1. 질병 고찰

Ⅱ. 건강사정
1. 일반적 간호정보
2. 활력 징후 외 자료 (BST, I/O)
3. NRS(Numerric Rating Scale) 통증사정
4. 임상검사(laboratory findings)
5. 투약하고 있는 약물
6. 기타 진단검사
7. 현재까지의 간호사정 자료 요약
8. 간호진단
9. 간호과정
10. 참고문헌

 

본문내용일부

(1) 빈도
■ 발생빈도 : 생식연령기 여성의 20~25% 발생
■ 호발연령 : 40~50대
※ 40세 이상 여성의 40~50% ; 무증상 근종
■ 위험요인 : 미산부, 경구피임제나 자궁 내 장치 이용 여성에서 자주 발견됨.

(2) 원인
① 자궁 평활근 내의 미성숙세포, 유전적 요인 및 에스트로겐 증가와 관련된 것으로 보고됨
① 자궁근종 가족력이 있는 경우 자궁근종의 발생 위험도가 경도로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됨

(3) 유형
❶ 간질 또는 근층내근종 (interstitial or intramural myoma) → 환자의 경우 이 유형에 해당됨.
■ 부위 : 자궁근층 내
■ 발생빈도 : 80%
■ 특징 - 주위 조직과 가성외피에 의해 경계 분명함
- 침윤 없음
- 근종이 근층내 깊숙이 위치
- 자궁 자체가 비대해진 것으로 보임
- 자궁내막 조직 면적이 넓어지므로 월경량 많아짐

❷ 장막하근종 (subserosal myoma)
■ 부위 : 자궁 외막인 장막층, 복막 바로 아래 발생
■ 발생빈도 : 15%
■ 특징 - 늘어지면서 육경(pedicle) 형성

❸ 점막하근종 (submucosal myoma)
■ 부위 : 자궁내막 바로 아래 발생
■ 발생빈도 : 5%
■ 특징 - 출혈 많거나, 육종성 변성, 감염, 화농, 괴사 등의 합병증 발생 높다
- 자궁강으로 돌출된 것

(4) 증상
- 증상이 없는 경우가 절반 정도 되고, 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자궁근종의 위치나 크기에 따라 다양한 증상이 생길 수 있다.
①월경과다(hypermenorrhea), 월경기간 연장(menorrhagia) ※가장 흔한 증상
② 만성통증
③ 급성통증
④ 월경곤란증
⑤ 성교곤란증(dyspareunia)
⑥ 골반압통(pelvic pressure)
⑦ 빈뇨, 부분적인 요관폐쇄

(5) 근종의 2차변성
■ 초자성 변성(hyaline degeneration)
: 근종의 소용돌이 형태가 없어지고 자궁근종 조직이 균일성으로 보이는 것
■ 낭포성 변성(cystic degeneration)
: 초자성 변성이 액화되어 투명액 또는 젤라틴 물질 및 낭강 형성

 

참고문헌

김조자외(2014). 간호과정. 수문사
이영숙외(2014). 여성간호학Ⅰ,Ⅱ. 현문사
송경애외(2014). 기본간호학(상, 하). 수문사
http://health.mw.go.kr/Main.do 국가건강정보포털

 

위와 같이 깔끔하게 정리가 되었나요?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여성간호학 자궁근종 케이스스터디 (감염위험성, 수면양상장애, 통증)”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