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학

꼼꼼한 아동실습 급성 후두염 정의, 진단검사, 간호진단 및 간호중재

안녕하세요!! 행복한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꼼꼼한 아동실습 급성 후두염 정의, 진단검사, 간호진단 및 간호중재”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Ⅰ. 병태생리

Ⅱ. 일반적 사항

Ⅲ. 과거력/ 현병력

Ⅳ. 간호력

Ⅴ. 신체사정

Ⅵ. 검사결과
1. 활력징후
2. 일반화학검사
3. 혈액검사

Ⅶ. 대상자의 약물치료

Ⅷ. 간호과정
1. 의미 있는 자료 분석을 통한 간호문제 도출
2. 간호문제 목록(우선순위에 따라)
3.. 간호진단과 간호계획

참고문헌

 

본문내용일부

정의
- 급성 폐쇄성 후두염(크룹)은 1~3세의 유아에서 흔히 나타나는 질환으로, 바이러스나 세균이 후두 점막에 침투하면서 염증을 일으켜 발생한다. 그러나 원인이 밝혀지지 않은 경우도 많다. 어떤 원인에 의해 후두점막의 부종이 심해져 기도가 좁아지면서 증상이 나타난다. 목이 쉬거나 목소리에 변화가 오고, 숨을 들이 쉴 때 소리가 나며, 개 짖는 소리와 비슷하다고 하여 개기침(barking cough)이라고 불리는 특징적인 기침이 나고, 호흡곤란 및 흉벽 함몰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원인
- 급성 폐쇄성 후두염은 파라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감염에 의한 경우가 대부분인데, 세균 감염에 의한 경우도 많이 있다. 먼지나 연기의 흡입, 과도한 성대 사용 등이 원인이 되며, 디프테리아나 백일해 등의 전염병으로 인해 발생하기도 한다. 디프테리아나 백일해에 의해 발병한 경우를 진성 크룹, 다른 원인의 인두염이나 후두염으로 인해 발병한 경우를 가성 크룹이라 한다.

증상
- 급성 폐쇄성 후두염 환자는 초기에는 발열을 동반한 상기도 감염증의 증상을 호소하고, 수일 후 특징적인 개기침(barking cough) 소리가 나타난다. 이 때 발생하는 기침은 보통 가래를 동반하지 않으며 밤에 악화되는 특징이 있다. 드물게 성문하 부종으로 인한 호흡곤란이 나타날 수 있다.

진단/검사
- 증상 및 경부 X선 검사 결과를 통해 진단이 가능하며, 경부 X선 검사 상 부종으로 인해 성문 하부가 뾰족탑처럼 보이는 탑상 징후(steeple sign)가 특징적이다.

치료
- 부종을 감소시키고, 분비물을 묽게 만들어주며, 호흡곤란이 심한 경우에는 기도를 확보해야 한다. 분비물을 묽게 하고, 기도 내 가피(딱지)를 부드럽게 하기 위해 충분한 수액요법, 습도 조절 및 산소 공급이 필요하다. 이러한 치료에도 불구하고 증상이 계속 악화될 경우에는 에피네프린 분무 및 고농도의 코르티코이드의 사용이 필요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기관 내 삽관이나 기관 절개술이 필요할 수도 있다. 세균에 의한 이차감염이 의심될 경우에는 항생제의 사용이 필요하다.

 

참고문헌

강현수 외, 『근거기반 기본간호학 2』, 수문사, 2013.
박정숙 외, 『성인간호학 1』, 엘스비어 코리아, 2014.
박정숙 외, 『성인간호학 2』, 엘스비어 코리아, 2014.
임경춘 외, 『건강사정』, 엘스비어 코리아, 2014.
차영남 외,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현문사, 2013.
박은영 외,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 2017.
[네이버 지식백과] 급성 폐쇄성 후두염 [acute laryngotracheobronchitis]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네이버 지식백과], 약물정보(씨제이 5% 포도당나트륨칼륨주2, 에피네프린 주사액, 박타신 주, 레브도콜 시럽, 풀미칸레스퓰 분무용 현탁액, 이부서스펜시럽)
국제 청소년 교류 연맹, http://iyea.or.kr/system/board.php?board=net2&command=body&no=38
[네이버 지식백과] 심전도 검사 [electrocardiography]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위와 같이 깔끔하게 정리가 되었나요?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꼼꼼한 아동실습 급성 후두염 정의, 진단검사, 간호진단 및 간호중재”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