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학

[성인간호학 실습 케이스] 정형외과 병동 실습, 골절 환자 케이스

안녕하세요!! 행복한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성인간호학 실습 케이스] 정형외과 병동 실습, 골절 환자 케이스”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1. 문헌고찰

2. 대상자 사정
1) 일반적 사항
2) 간호력
3) 신체사정
4) 투약
5) 진단적 검사 및 결과

3. 간호사정

4. 참고문헌

 

본문내용일부

1. 정의
-파킨슨병: 뇌의 흑질에 분포하는 도파민의 신경세포가 점차 소실되어 안정떨림, 경직, 운동완만(운동느림) 및 자세 불안정성이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신경계의 만성 진행성 퇴행성 질환
-골절: 뼈나 골단판 또는 관절면의 연속성이 완전 혹은 불완전하게 소실된 상태

2. 병태생리
-파킨슨병
원인 밝혀지지 않았지만 현재 다인성 가설(유전적 인자와 환경적 인자가 서로 상호작용을 일으킨다)이 가장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짐.
대부분의 파킨슨병 환자들은 가족력 없이 발병하지만 약 10% 정도에서는 가족성 파킨슨병이 나타나고있음. 나이가 증가할수록/ 농촌 거주자일수록 발생 빈도가 높음.

-골절
대개의 경우 뼈에 강한 외부의 힘이 가해지는 외상 후에 발생함.
-직접적인 외상: 교통사고, 타박, 총상 등이 원인
-간접적인 외상: 뼈에 붙은 근육이나 인대가 갑작스럽게 힘이 가해지면서 뼈를 잡아당겨 골절이 생기거나 뼈에 회전력 등이 가해져 골절이 발생하는 경우

그 밖에 병적 골절(골다공증, 종양, 감염 등으로 약해진 부위에 정상적인 뼈에서는 골절을 유발하기에 약한 힘에 의해 일어난 골절), 불충분 골절(종양 이외의 병변 부위에 일어난 병적 골절), 피로골절(뼈의 일정한 부위에 반복되는 스트레스가 가해질 때 점차적으로 생긴 골절)

3.진단
-파킨슨병:
보통 임상 증상을 관찰, 신경학적 검사만으로 진단.
필요시 뇌 자기공명영상촬영(뇌 MRI), 단일혈류광자방출단층촬영(SPECT),양전자방출단층촬영(PET), 혈액화학검사, 갑상선기능검사, 자율신경계검사

-골절
환자의 증상을 기초로 진찰(통증, 변형, 비정상적 움직임), 단순 방사선 사진(X-ray)을 촬영, 필요시 컴퓨터 단층 촬영(Computed tomography, CT)

4.임상증상
-파킨슨병
1. 파킨슨병의 주요 증상- 운동 증상
가만히 있을 때 주로 발생하는 떨림, 관절경직, 운동 완서 및 자세 이상(골절, 머리외상 가능성↑), 무표정한 얼굴, 눈꺼풀의 움직임이 감소

 

참고문헌

홍영혜 외, 『최신 간호진단』, 수문사, 2011
차영남 외,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현문사, 2013
김정애 외, 『NANDA 간호진단별 간호중재 가이드북』, 수문사, 2009
김금순 외, 『성인간호학 1,2』,수문사,2012

 

 

위와 같이 깔끔하게 정리가 되었나요?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성인간호학 실습 케이스] 정형외과 병동 실습, 골절 환자 케이스”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