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국립대간호학과 성인간호학 A+ OS정형외과-반월상 연골판 파열, 진단5개, 과정2개”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SgQW6/btsK6wL2FZR/8IHOlT4bOACYZkMTIpMI1k/img.png)
목차
Ⅰ. 질병에 대한 문헌고찰
Ⅱ. 시나리오
Ⅲ. 대상자 사정
Ⅳ. 진단검사
Ⅴ. 임상검사
Ⅵ. 사용 약물
Ⅶ. 간호과정
본문내용일부
Ⅰ. 질병에 대한 문헌고찰
<대상자의 질병: lateral meniscus tear>
-정의
반월상 연골판 파열은 가장 흔한 무릎 부상 중 하나이다. 운동 선수, 특히 신체접촉이 많은 스포츠를 하는 선수들은 반월상 연골판 파열이 발생할 위험이 높다. 그러나, 나이와는 상관없이 누구나 반월상 연골판 파열이 발생될 수 있으며 사람들이 무릎에서 찢어진 연골에 대해 이야기할 때, 그것은 보통 찢어진 반월상 연골판을 일컫는다.
-원인
갑작스러운 반월상 연골판 파열은 스포츠 활동 중에 자주 발생한다. 운동 선수들은 무릎을 과도하게 구부리거나 무릎이 뒤틀리며 발생할 수 있고 태클과 같은 직접 접촉에 의해서도 발생될 수 있다.나이가 많은 사람들은 퇴행성 반월상 연골판 파열이 발생할 가능성이 더 높다. 연골이 약해지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얇아지게 된다. 닳은 연골조직은 더 파열되기 쉬워 의자에서 일어날 때 발생하는 무릎의 어색한 뒤틀림만으로도 연골 파열이 유발될 수 있다.
-증상과 징후
반월상 연골판이 찢어질 때 ‘퍽’ 하는 터지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렇게 무릎이 다친 채로 걸을 수 있으며 많은 운동 선수들도 파열이 발생한 이후에도 운동을 지속하게 된다. 하지만 2 ~ 3일이 지나면 무릎이 점점 더 뻣뻣해지고 부어오른다. 반월상 연골판 파열의 가장 흔한 증상은 다음과 같다.- 통증- 뻣뻣함과 붓기- 무릎 잠김, 무릎 꺾임- 무릎 관절 운동범위의 감소치료를 받지 않으면 반월상 연골판이 느슨해져 관절 안에서 움직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무릎에서 소리가 나고 미끄러지거나 잠김 증상이 생길 수 있다.
-진단
1. 문진 및 신체검진증상과 병력을 파악하고 무릎을 검사한다. 의사는 반월상 연골판이 위치하는 관절면을 따라 누르며 동통여부를 확인하며 동통이 있을 시 파열이 있음을 시사한다. 주요 검사 중 하나는 맥머레이 검사이다. 의사는 무릎을 구부린 후 곧게 펴면서 돌리고 이 동작은 찢어진 연골판에 긴장감을 줌으로써 딸깍하는 소리를 유발할 수 있다.
참고문헌
반월상 연골판 손상,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의약품사전
Beck의 불안척도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국립대간호학과 성인간호학 A+ OS정형외과-반월상 연골판 파열, 진단5개, 과정2개”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
'간호학 케이스스터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CASESTUDY-Endometrial Hyperplasia (0) | 2024.12.10 |
---|---|
조현병 케이스스터디 schizophrenia case study (0) | 2024.12.10 |
[여성건강간호학실습] CASE STUDY - PID/간호진단 5개, 간호과정 2개 (0) | 2024.12.03 |
허혈성 대장염 case study (0) | 2024.12.03 |
아동 급성화농성중이염 케이스스터디 간호진단2개 간호과정2개 기도 분비물 증가와 관련된 비효과적 기도청결, 중이의 염증과 관련된 고체온 (0) | 2024.1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