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학 케이스스터디

CASESTUDY-Endometrial Hyperplasia

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CASESTUDY-Endometrial Hyperplasia”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1. 문헌고찰
2. 사례연구
3. 간호진단

 

본문내용일부

문헌고찰
◆ Endometrial Hyperplasia - 자궁내막증식증

1. 정의: 비정상적인 자궁출혈을 동반하는 자궁내막의 비정상적인 증식

낭성증식증(단순 증식증)
선종성 증식증(복합형 증식증)
-정상 증식기의 내막에 피해 선이 증가 되어 있음
-증가된 선은 단순미세관들의 수적 증가를 보이거나 자궁내막선의 경부가 좁아지고 폐쇄되면서 낭성으로 팽대되고 기질내로 돌출되는 소견을 보임
-기질은 증식기 내막과 유사하고 밀집된 세포가 많은 기질로 폐경기 이후의 낭종을 동반한 위축성 병변과 구분
-선관의 밀집과 선의 증식이 기질에 비해 상승되는 것이 특징
-정도가 심할수록 선관은 더욱 밀집되고 구조적으로 비정상이 된다.
-선관의 불규칙성과 기질내의 침범을 관찰할 수 있다.

2. 원인 및 위험요인

원인
위험요인
-에스트로겐의 대사이상
-성호르몬 결합글로블린의 감소로 인한 에스트로겐 순환과 자궁내막의 감수성의 증가
-프로게스테론의 길항작용 없이 사용된 에스트로겐 요법
-에스트로겐 분비성 과립 포막증, 난포막 세포종, 다낭성 난소질환 및 부신피질 증식증의 동반 발생
-무배란성 월경주기의 가임여성
-폐경후의 여성(에스트로겐의 지속적 증가-난소외 부신이나 난소의 기질세포)
-비만여성
-흡연
-난소암,결장암 또는 자궁암의 가족력
-35세이상
-임신한적 없음

3. 증상 및 징후

가임기 여성
폐경기 여성
월경과다,부정자궁출혈, 월경지연->복합적
불규칙한 자궁출혈
-하복부 통증
-출혈(혈관내의 투과성 증가와 조직의 괴사등의 원인)->혈괴를 제거하면 통증은 사라짐

4. 진단
초음파
자궁내막 조직검사
자궁 내시경 검사
·자궁의 근종, 난소의 물혹, 종양 등 종괴성 질환의 발견 및 진단에 특히 유용.
·자궁내막증식증의 증상을 판단함
·자궁내막 증식증이나 자궁내막암이 의심되는 경우 등에서 본 검사를 받으며 기구를 자궁 입구를 통해 삽입하여 자궁내막 조직의 일부를 긁어내어 검사
·최종진단(확진)시 사용
자궁내부 병변을 직접 확인하기 위해 직경이 5-10mm 정도인 자궁경을 질 및 자궁 경부를 통하여 자궁강 내로 삽입한 후 자궁내부를 직접 관찰하는 검사

 

참고문헌

https://m.post.naver.com/my.nhn?memberNo=25786904 -차병원
http://www.amc.seoul.kr -서울아산병원
https://health.cdc.go.kr
현문사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원종순 외 저
수문사 여성건강 간호학 2권 강희숙 외 저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간호과정실무지침 서울대학교간호본부엮음 저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CASESTUDY-Endometrial Hyperplasia”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