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학 케이스스터디

[여성건강간호학실습] CASE STUDY - PID/간호진단 5개, 간호과정 2개

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여성건강간호학실습] CASE STUDY - PID/간호진단 5개, 간호과정 2개”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Ⅰ. 문헌고찰

Ⅱ. 대상자 사례
1. 일반적 간호정보
2. 현병력
3. 과거력
4. 가족력
5. 정신적, 사회적 상태 사정
6. 신체적 상태 사정
7. 진단검사 및 결과
8. 일반적 검사 결과(Lab finding)
9. 약물조사
10. 간호과정
11. 실습 소감 및 느낀 점
12. 참고문헌

 

본문내용일부

1. 골반염증성 질환(PID) 정의
● 골반염증성질환이란 자궁내경관에 번식하고 있던 세균이 자궁내막과 나팔관, 혹은 복강까지 퍼지면서 염증을 일으키는 것을 말한다. 대개 질염이나 자궁경부염이 치료되지 않고 방치된 경우에 세균이 자궁을 통해 위로 올라가면서 골반염이 생긴다.
● 골반염증성질환은 급성과 만성으로 나누며 난관염, 난소염, 자궁내막염, 골반복막염 등이 여기에 속한다. 골반염증성질환의 주된 병소는 대부분이 양측 난관이다. 난관의 염증은 곧바로 난소와 인접한 골반복막에 파급하게 된다. 이는 해부적인 인접성과 아울러 혈액 및 림프 순환에 밀접한 연관이 있기 때문이다.

2. 임상적 특성
● 급성 골반염증성 질환
- 자궁내막염: 난관과 난소에 심한 만성 혹은 아급성 염증이 있는 경우에도 염증증상이 없이 정상일 경우가 있다.
- 난관염: 하부 생식기관의 급성 감염 후 즉각적인 후유증으로 오거나 경관에 있는 보균상태의 균에 의한 감염으로 생길 수 있다. 난관염 발생 시 골반염증성질환의 특징적인 질환이 확실하게 발현된다. 난관에 부종이 생기고 삼출액이 배출되고 임질에 의한 난관폐쇄가 일어나면 구근모양의 난관섬모말단을 이루는 것이 특징이다.
- 난소주위염: 난소염은 드물고 난소주위염이 일어난다.
- 골반복막염: 소장, S장 결장, 직장 사이에 장액성 또는 섬유소성 삼출액 형태로 나타나서 유착을 일으킨다.
● 만성 골반염증성 질환
- 급성 염증이 반복적으로 재감염 되면서 악화된 상태로 진행되어 만성형이 된다.

3. 원인
● 골반염을 일으키는 원인은 세균이며, 성병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는 클라미디아 균과 임질균이 가장 흔한 원인균이다. 그 외에 인플루엔자균, A군 연쇄구균, 폐렴구균 등도 골반염의 원인균이 될 수 있다.

4. 위험요인
● 이전에 골반 염증성 질환의 병력 또는 성병의 병력
● 성전파성 감염의 결과로 나타난다.
● 성활동이 활발한 청소년과 생식연령의 젊은 여성에서 감염의 기회가 3배가 높다.
● 자궁 내 장치삽입으로 인한 감염
● 산후나 유산 후 화농성균에 의한 감염

 

참고문헌

황옥남 외(2019), 「성인간호학 상 제7판」, 현문사
박영주 외(2020), 「여성건강간호학 제5판」, 현문사, 79-89, 289-300
골반 염증성 질환(Pelvic inflammatory disease) - 서울아산병원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825
약학정보원. 약물조사 https://www.health.kr/main.asp
Meg Gulanick 외 공저,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서울, 현문사, 2019
이은규, 김수현, 전영선, 최유진, 박경미, 양승정, 박찬욱, 조성희.(2018).만성 골반염 환자 2례의 임상증례보고.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31(3),109-120.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여성건강간호학실습] CASE STUDY - PID/간호진단 5개, 간호과정 2개”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