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학 실습

성인간호학실습(외과병동) 다발성골절로 인한 다리절단 간호과정 사례보고서

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성인간호학실습(외과병동) 다발성골절로 인한 다리절단 간호과정 사례보고서”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질환의 병태 생리
Ⅲ. 결론 및 제언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일부

I. 서론
현재 실습중인 10A 병동은 OS병동으로 대부분의 환자가 골절로 인해 입원하여 수술을 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골절의 원인으로는 노인의 낙상과 중년층의 교통사고, 청년층의 운동중 부상이 가장 많았다. 여러 원인으로 언제 누구에게나 예상치 못하게 일어날 수 있는 골절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자 선정하게 되었다.

II. 질환의 병태 생리
골절이란?
- 뼈나 골단판 또는 관절면의 연속성이 소실된 상태

1) 골절의 종류
*골절편의 수에 따른 분류

2) 원인
- 주로 외상으로 인해 발생
- 골다공증과 같은 병적골절, 반복적 스트레스로 인해 점차적으로 생기는 피로골절

3) 증상
- 골절이 발생한 부위 주변으로 통증과 압통이 발생
- 신경의 손상이 동반될 경우 감각이상
- 심한 외상으로 인한 골절의 경우 장기 손상 및 쇼크

4) 진단검사
- X선 촬영 : 조금이라도 의심이 된다면 부위별로 방향과 각도를 달리하여 촬영 후 확인
- CT : 골절의 양상을 X-ray보다 정확하게 관찰, 3차원 구성
- MRI : 골절과 동반된 연부조직의 손상 확인

5. 치료
1) 비수술적 치료
- 도수정복 : 어긋나 있는 뼈를 골절 후 12시간 내에 바로 맞추는 것
- 고정 : 석고 부목, 석고 붕대, 보조기, 견인을 이용한 고정

2) 수술적 치료
- 외고정 : 골절부 상하에 핀을 삽입한 후 외부에서 석고 붕대 고정이나 금속 기기를 이용하여 골절을 고정
- 내고정 : 골절 부위를 정복하고 여러 가지 내고정 기구를 사용하여 골절을 고정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 “너무 아파요”
- “진통제 좀 더 주세요”
- NRS 7점

객관적 자료
- OP: Below knee emputaion
- BP 150/90, P 110회, RR 28회, BT 37.4
- IV PCA
- 찡그린 표정으로 식은땀을 흘리며 거친 숨을 쉬는 것을 관찰함

 

참고문헌

성인간호학 상, 하(2018). 현문사. 황옥남 외
비판적 사고를 이용한 간호과정의 적용(2016). JMK
간호진단 정의와 분류 11판 학지사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2019) 현문사. Meg Gulanick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
서울대학교병원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548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성인간호학실습(외과병동) 다발성골절로 인한 다리절단 간호과정 사례보고서”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