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학

(소독법과 전염병학) 성병

안녕하세요!! 행복한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소독법과 전염병학) 성병”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A. 성병의 종류
B. 성병의 증상
C. 성병 예방법
D. 남성들이 잘 걸리는 성병과 증상
E. 임신과 성병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일부

1.서론

성병은 일차적으로 사람과 사람 사이에서 성적인 접촉을 통해 전파되는 질환을 말한다. 30종류 이상의 성병이 있으며 각각 세균, 바이러스, 기생충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성병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2.본론

A.성병의 종류

성병은 그 원인이 되는 균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 세균성 성병: 임질(gonorrhea), 클라미디아 감염증(Chlamydia trachomatis), 매독(syphilis), 연성하감
- 바이러스성 성병: 인간면역결핍 바이러스 감염증 및 후천성 면역결핍증, 단순 포진 바이러스 감염증, 인간유두종 바이러스 감염증, B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
- 기생충성 성병: 트리코모나스 질염, 칸디다 감염증

B.성병의 증상

1) 임질(gonorrhea)
-남성의 경우 급성 요도염이 가장 흔하다. 이 경우 임균에 감염된 지 2~7일 정도 후에 배뇨통을 동반한 농성(고름 성분) 분비물이 요도를 통해 배출된다. 여성의 임균 감염증은 감염 후 대체로 10일 내에 자궁경부염의 형태로 나타난다. 질을 통해 농성 분비물이 배출되고 요도염이 동반되었을 경우에는 배뇨통, 빈뇨, 긴박뇨(소변을 보고 싶은 마음이 긴박하게 들면서 소변을 보러 가는 도중 배뇨를 함)가 나타날 수 있다. 여성의 임균 감염증은 남성보다 증상의 강도가 약하거나 무증상인 경우도 있다. 여성과 남성 동성애자의 경우 인두염, 직장염이 발생할 수 있으며 균의 침범부위에 따른 증상이 나타난다. 결막염은 주로 신생아에서 발생하며 드물게 성인에서도 발생한다. 적절하게 치료하지 않으면 실명한다.

<발병위치>

<임균>

2) 클라미디아 감염증(Chlamydia trachomatis)
-잠복기는 불분명하지만 7~14일 또는 그 이상이다. 요도염에서는 소양감(가려움증), 배뇨통, 점액 농성(고름) 분비물이 나타난다.

 

참고문헌

http://health.naver.com/medical/disease/detail.nhn?selectedTab=detail&diseaseSymptomTypeCode=AB&diseaseSymptomCode=AB000001&cpId=CP00038907(성병)
http://remorseless.tistory.com/618(매독)
http://dbtmddbs.tistory.com/84(연성하감)
https://www.gsk-korea.co.kr/html/your-health/hiv-aids.html#difteri(HIV)
http://blog.naver.com/graviola?Redirect=Log&logNo=169901387(인유두종바이러스 증상)
http://blog.daum.net/hello_health/275(트리코모나스 질염)
http://blog.daum.net/_blog/BlogTypeView.do?blogid=0On4e&articleno=93#ajax_history_home(칸디다 질염)
http://mybox.happycampus.com/socool7942/5913615/?agent_type=naver(성병예방)
http://www.vitaminmd.co.kr/dic/disease/harvard/view.md?diseaseid=000O1#hh2(남성성병)
http://blog.naver.com/karmasunny?Redirect=Log&logNo=110090669901(임신과 성병)

위와 같이 깔끔하게 정리가 되었나요?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소독법과 전염병학) 성병”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