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학

Vsim Pediatric Case (2) Jackson Weber (complex) 간호사정

안녕하세요!! 행복한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Vsim Pediatric Case (2) Jackson Weber (complex) 간호사정”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Ⅰ. 문헌고찰

Ⅱ. Pediatric Case 2: Jackson Weber (Complex)
(1) Documentation Assignments
(2) Guided Reflection Questions

Ⅲ. 참고문헌

 

본문내용일부

Ⅰ. 문헌고찰
(1) 정의
발작장애(seizure disorder)에서 발작이란 뇌의 비정상적인 전기적 활동으로 인해 갑작스럽고 불수의적인 주의력 혹은 행동상의 변화가 초래되는 뇌 활동의 일시적인 기능장애 상태이다. 뇌전증은 뇌질환에 의해 이차적으로 발생하는 만성장애이다.
(2) 발생빈도, 원인
- 발생빈도
뇌전증의 유병률은 1,000명당 4~10명이며, 0~9세 사이 아동과 60세 이상 성인에서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 원인
발작은 뇌전증 발생 초점부위라고 불리는 특정영역 뇌세포의 과다 흥분으로 인한 전기방출로 나타나는 결과이다. 발작의 원인을 밝혀지지 않았거나 특발성인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선천적 결손, 뇌손상, 중추신경계 감염, 저혈당 또는 내분비 기능장애 손상, 종양, 유전질환 또는 독성물질의 섭취나 노출, 뇌의 일부나 혈관 기형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도 있다. 정서적 스트레스, 불안, 피로, 감염, 대사 장애와 같은 환경적·생리적 자극으로 유발된다.
영아기: 출생 손상, 무산소증 경험, 감염, 뇌출혈, 선천성 뇌기형
큰 아동에게 나타나는 경련: 손상이나 감염에 따른 2차적 결과 多, 식이, 수화 상태의 변화, 피로, 약물 복용의 불이행으로 발작활동 촉진
(3) 진단과 임상증상
- 진단
진단은 뇌의 전기적 활동을 기록하는 뇌파검사(EEG)에 의해 이루어진다. EEG는 뇌에 전기 활동을 사정하기 위해 아동이 잠자는 동안, 깨어있을 때, 유해한 자극(강렬한 빛, 소음 등)을 받을 때, 또는 과다호흡 상태에서 실시한다. 구조적 기형유무를 확인하기 위해 컴퓨터단층촬영(CT)이나 자기공명촬영(MRI)과 같은 방사선 영상검사를 할 수 있다.
- 임상증상
전신성 강직-간대성 발작은 뇌전증발작 중 가장 심한 발작 형태이며 강직기, 간대기, 후기 또는 경련 후 상태의 단계를 거친다.
갑작스런 발작, 1~2분간의 의식손실, 발작 후 기억상실(수분~시간)
전조: 유 혹은 무
전신 근육의 강직 후에 리드미컬한 경련이 뒤따름
침 흘리거나 입에서 거품을 냄
눈동자가 위쪽으로 말려 올라가거나 편측으로 치우침; 동공 확대
다리, 머리, 목이 신전되고 팔은 굴곡 혹은 수축되면서 흉복벽이 강직됨
횡격막과 흉근 수축 시 호기에 의한 울음 혹은 끙끙거리는 소리
간대기 근육이완으로 인한 대소변 실금
졸음, 각성의 어려움; 고혈압, 발한; 두통

 

참고문헌

vSim for Nursing > Pediatric Case 2: Jackson Weber (Complex)
성미혜 외. 『근거기반간호 간호과정』. 수문사, 2019.
김미예 외. 『아동건강회복간호』. 수문사, 2018.
안효자 외. 『인간관계와 의사소통 제3판』. 수문사, 2018.
약학정보원. www.health.kr

위와 같이 깔끔하게 정리가 되었나요?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Vsim Pediatric Case (2) Jackson Weber (complex) 간호사정”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