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학

총담관낭(Choledichal cyst)

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총담관낭(Choledichal cyst)”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1. 서론 및 문헌고찰 (필요성)
2. 간호력
3. 신체검진
4. 검사소견
5. Problem List (시점: 00-00-00 #POD 0)
6. 우선순위 &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의 적용
7. 결론

 

본문내용일부

Ⅰ. 서론 및 문헌고찰 (필요성)
A. 정의
총담관 낭(Choledochal cyst)은 간내 또는 간외 담관의 낭성 확장으로 나타나는 담도계의 해부학적 이상이다.
담관낭종은 매우 드문 질병으로 알려져 있으며
급성 복통, 황달, 구토 췌장염, 복부 종괴 등의 증상이
생길 수 있다. 총담관 낭은 대부분 태어날 때 발생하며 남성보다 여성에서 3~4배 자주 발생한다. 또한 서양인보다 동양인에서 더 흔하다. 또한 환자의 60~75% 정도가 소아 시기에 발견된다.

현재 Todani 등은 총담관 낭은 5가지의 형태로 분류했다.




① 제1형: 총담관에 낭성 또는 방추형 확장이 일어나는 것으로 간 내 담관은 확장되지
않는다.
② 제2형: 총담관의 게실로서 매우 드물게 발생한다.
③ 제3형: 십이지장벽 내의 담관이 확장되는 총담관류(choledochocele)
④ 제4형: 담관이 다발성으로 확장되는 것으로 간 외 담관, 간 내 담관이 모두
확장되는 것이다.
⑤ 제5형: 간 내 담관 낭종으로 Caroli병이라고도 하며, 간 섬유증과 동반되기도 한다.


하지만 종양, 담석, 염증 등에 의해서 담관이 막힌 후 그 윗부분이 이차적으로 늘어난 경우는 총담관 낭으로 진단내릴 수 없다.

B. 병태생리
총담관 낭은 원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췌담관 합류 이상, 원위부 총담관의 협착, 총담관벽의 선천적 약함 및 간 실질의 섬유화의 이차적 현상 등이 연구되었다. 그 중 췌담관 합류 이상이 담관낭종과 관련된다는 것이 현재 가장 유력한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총담관의 선천성 기형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총담관 낭은 췌담관 합류부 이상이라는 기형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 췌액이 담관 내로 역류하고, 역류된 췌액이 만성적으로 담관 상피를 자극하여 반복적으로 담관염을 일으키며 결과적으로 담관 확장이 일어난다. 또한 췌담관 합류부에 이상이 있는 경우의 70% 정도에서 담관 낭종이
동반된다. 반대로 담관 낭종이 있는 경우의 50~80% 정도에서 췌담관 합류부 이상이
동반된다. 총담관낭은 보통 5형으로 분류되며 I형이 전체의 85~95%를 차지한다.

 

참고문헌

박정숙 외(2018), 성인간호학2, ‘현문사’
0000000 성인간호학 실습 지침서
성미혜 외(2019), 근거기반간호 간호과정, ‘수문사’, 부록(p. 247~340)
윤경진, 김경희(2009), 정보제공 방법에 따른 중환자 가족의 환경적 스트레스와 간호요구 만족도, 117-128(12pages)
이종경(2006), 복부 수술 환자의 통증 정도 및 통증관리 만족도 영향 요인, 125 - 135 (11page)
이은주, 최순희(2011), 일반외과 입원 환자에 적용되는 간호진단-간호결과-간호중재 연계 확인,
180-188(9pages)
김현영, 이영남(2019), 수술 환자의 불안에 적용한 비약물적 중재의 효과: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Vol. 26 No. 4, 248-259
홍윤석 , 장병국 , 정우진 , 박경식 , 조광범 , 황재석 , 안성훈 , 권중혁 , 김갑철(2004), 제10차 춘계
학술대회 초록집 : 포스터전시 43 ; 담낭관의 확장을 동반한 비특이적인 총담관낭 3예,
154-154(1pages)
임시연, 정풍만(2003), 총담관낭의 임상적 고찰, 81-88(8pages)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총담관낭(Choledichal cyst) A+받은 자료, 수술 후 간호진단 참고 시 사용 하셔도 좋아요.”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