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상행결장암 케이스스터디”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1. 사례
2. 병태생리
3. 간호력
4. 대상자 간호 문제 도출
5. 간호과정
6. 참고문헌
본문내용일부
사례
진단명: 상행결장암
입원일: 2021년 4월 24일
59세 남성 정○○ 씨는 몇 개월 전부터 심한 피로감을 느껴오던 중 최근 들어 간헐적 abd pain 및 설사 및 변비가 교대로 나타나는 증상을 자주 경험하게 되었으며 며칠 전부터 미세하게 혈변이 나타나는 것을 발견한 후 국가건강검진에서 실시 한 분변잠혈검사 소견에서 양성이 나왔다. 정 씨는 colon scopy 검사에서 3개의 용종 중 1개는 증식성 용종으로 polypectomy를 시행하였고 나머지 2개는 biopsy 결과 상행결장암(Cancer of ascending colon) T3N00 진단을 받게 되었다. 2021년 5월 1일 9시 30분에 복강경을 이용한 우측대장절제술[Laparoscopy assisted right hemicolectomy]을 시행했다. 수술 후 정 씨는 수술 부위로 인하여 NRS 점수가 7점으로 얼굴을 찡그리며 “진통제 좀 주세요.. 너무 아파요...”라며 통증을 호소하였다. 또한, “너무 피곤해서 그런지 몸에 힘이 없어요...”라고 말하며 수술 전, 중, 후 과정 속 발생한 스트레스와 치료 스케줄로 인해 발생된 과도한 피로감을 호소하고 있으며, 수술 부위 통증완화를 위해 PCA로 마약성 진통제를 투여받은 후, “속이 너무 매스꺼워요”, “토할 거 같은데....”라며 구역질을 하며 부작용 증세를 보였다.
병태생리
대부분의 결장암은 선종성 용종에서 시작하여 악성이 됨에 따라 장 내에서 크기가 커지고 장벽을 침윤하여 림프계나 순환계로 퍼지기 시작한다. 용종이 악성화되는 것은 크기, 조직학적 형태 및 이형성의 정도와 관련이 있는데, 용종이 악성으로 변이되기까지 약 5년~12년이 걸린다. 종양은 주로 간으로 침범하는데, 그 이유는 결장직장 종양으로부터 정맥혈류가 문맥으로 흐르기 때문이다. 악성 종양은 위장에서부터 가로결장까지 인접해 있는 기관에 직접 침범함으로써, 간으로는 림프와 혈액을 통해서, 복강 내로는 암세포가 직접 퍼지거나 또는 이식되어 침범한다. 방광이나 요관, 생식기관 또한 직접 침범되고, 방광과 장 사이 혹은 장과 질 사이에도 누공이 생기며 혈액을 통하여 폐 , 콩팥 및 뼈까지 전이되기도 한다. 결장직장암은 Dukes 분류와 TNM 분류를 사용하여 종양의 단계를 결정하는데, 단계는 종양의 크기가 아니라 침윤 정도에 의해 결정된다.
참고문헌
윤은자 외 (2019), 성인간호학 Ⅰ, 수문사
양선희 외 (2020), 기본간호학, Ⅰ, 현문사
Robert J. Hubert, Karin C. VanMeter 공저, 최명애 외 13 공역, (2019), 병태생리학, 계축문화사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상행결장암 케이스스터디”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
'간호학 케이스스터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급성충수염 문헌고찰, 간호진단 3개 case study (0) | 2024.02.26 |
---|---|
정신간호학실습 강박장애 Case study (문헌고찰, 간호과정 3개) (0) | 2024.02.22 |
COPD, 상기도감염 진단2개 과정2개 (0) | 2024.02.22 |
[case study] 급성 골수성 백혈병- 감염위험, 출혈위험 (0) | 2024.02.21 |
성인간호실습 SAH(지주막하출혈) 케이스 스터디 (0) | 2024.0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