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정신간호학 신경전달물질과 정신과약물 정리”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I. 신경전달물질(neurotansmitter) 정의
II. 신경전달물질 분류
III. 신경전달물질과 관련 약물
IV. 정신과 약물
1. 항정신병 약물(온정제, 신경이완제)
2. 항우울제
3. 기분안정제
4. 항불안제 및 진정 • 수면제
5. 항파키슨 약물
6. 인지기능 개선제
본문내용일부
(1) 삼환계 항우울제
① 작용기전
정확한 작용기전은 아직 규명되지 않았지만 항우울제가 시냅스 전 뉴런세포에서 노르에피네프린과 세로토닌의 재흡수 기전을 억제하여 시냅스에서의 신경전달물의 양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런 약리학적 기전은 동물실험에서는 약물투여 후 즉시 반응이 나타나지만, 실제 임상에서 항우울제 효과는 약물투여 2~3주 후에 나타난다.
② 적응증
- 주요우울장애 치료 : 삼환계 계통의 항우울제는 경한 우울증에는 효과가 적음
- 재발성 주요우울장애의 예방
- 조현병, 치매 등의 정신질환에 의한 이차적 우울의 치료
- 양극성 장애의 우울 치료
- 공황장애의 예방
- 강박증 치료(특히 clomipramine)
- Methylphenidate에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주의력 결핍과 과잉행동장애 치료
- 아동, 청소년의 야뇨증 치료
- 악몽, 기민병 치료
③ 금기증
- 과민반응 대상자
- 심근경색증
- 임산부의 경우 기형발생 위험을 예방하기 위해 임신 첫 3개월간은 투여 제한
- 전립선 비대증, 요정체, 녹내장 대상자에게는 신중히 투여할 것
④ 용법
대부분의 삼환계 항우울제는 하루에 한 번 투약하며, 투약으로 인한 진정작용이 심한 약은 보통 취침 전에 투약하도록 한다.
⑤ 종류[일반명(상품명)]
- amitryptiline(Elavil)
- doxepin(Adapin, Sinequan)
- imipramine(Tofranil)
- clomiptamine(Gromin, Anafranil)
- desipramine(Norpramin)
- nortryptyline(Pamelor)
- protriptyline(Vivactil)
(2) 모노아민산화효소억제제(Monoamine Oxidase Inhibitor, MAOI)
① 작용기전
MAO억제제는 뉴런 내의 노르에피네프린, 세로토닌, 도파민 등의 모노아민 신경전달물질을 대사하는 효소인 MAO의 작용을 비가역적으로 억제하여 중추신경계의 신경전달물질을 상승시킨다.
참고문헌
최신 정신건강간호학 개론 5판 / 김희숙 외 / 학지사 메디컬 / p40~41, p238~262
서울 아산병원 홈페이지 / 신경전달물질 정의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정신간호학 신경전달물질과 정신과약물 정리”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
'간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역사회간호학-보건사업 기획과정 (용산구) (0) | 2024.02.14 |
---|---|
아동간호학 케이스 (아데노바이러스) 피부통합성 장애, 감염의 위험 (0) | 2024.02.13 |
자궁근종 수술실 성인실습, 병태생리, 수술방법, 수술과정, 회복실 (0) | 2024.02.13 |
PPROM(만삭 전 조기양막파열) 간호과정 (0) | 2024.02.08 |
[지역사회간호학] 가족간호보고서/가족간호과정/문헌고찰 및 측정척도 포함 (0) | 2024.0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