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지역사회간호학-보건사업 기획과정 (용산구)”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1. 지역사회 간호사정 (지역사회 현황분석)
1) 지역사회 특성
2) 지역사회 건강수준
3) 지역사회자원
4) 지역주민의관심
2. 지역사회 간호문제
3. 지역사회 간호진단
4. 간호진단(건강진단)의 우선순위 결정
5. 지역사회 간호 수행 및 평가 계획
본문내용일부
Ⅰ. 지역사회 간호사정 (지역사회 현황분석)
1. 지역사회 특성
영역
자료요약
지리적 특성
1. 면적: 21.87㎢ (서울시 면적의 약3.6%)
2. 위치: 서울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어 남쪽으로는 한강을 북쪽으로는 남산을 경계로 인근 6개 자치구와 접하고 있음
3. 행정구역: 후암동, 용산2가동, 남영동, 청파동, 원효로1·2동, 효장동, 용문동, 한강로동, 이촌 1·2동, 이태원 1·2동, 한남동, 서빙고동, 보광동
<동별 면적(㎢)> 출처: 용산구(2020)
4. 구성: 주거지역 12.13㎢, 녹지 면적 8.53㎢.
5. 지리적 환경 특성
남쪽으로 한강을, 북쪽으로 남산을 경계로 6개 자치구와 접하고 있으며 한강을 잇는 대교들 중 6개의 한강대교와 경부철도가 용산을 지나고 있어 서울 도심을 잇는 관문이며 교통의 요충지임. 창공원, 용산가족공원, 전쟁기념관, 한강시민공원 등 도심공원이 많아 주민들이 쾌적한 환경을 누릴 수 있는 자연 휴식 공간이 많으며 미 8군 기지를 비롯하여 많은 외국 공관저와 문화원, 이태원관광특구 등이 있어 타지역에 비해 특히 외국인 거주자가 많음
인구특성
1. 총인구
○ 총인구: 229,369명 (남자 110,604명, 여자 118,765명)
○ 세대: 109,692세대 (세대 당 평균 2.08명)
용산구의 인구는 서울시에서 3번째로 작은 인구규모이며 총인구는 2018년, 2019년 감소했다
가 2020년 229,369명으로 다시 증가함
2. 연령에 따른 인구변화
연령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영유아(0~6세)
10,825
10,065
9,671
9,527
초등학생(7~12세)
9,157
8,940
7,594
8,819
청소년(13~18세)
11,114
10,153
9,651
9,522
성인(19~64세)
161,577
162,615
163,413
171,894
노인(65~84세)
32,526
33,216
33,800
34,314
초고령노인
(85세 이상)
3,962
4,348
참고문헌
2017 지역사회 건강통계 서울특별시 용산구
2018년 건강보험통계연보
2018 지역사회 건강통계 서울특별시 용산구
곽미영, & 황은정. (2016). 금연동기단계에 따른 코칭프로그램이 환자 금연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17(4), 188-198.
강은홍, & 김춘숙. (2017). 자조모임을 통한 고혈압 환자의 자가-건강관리 프로그램 적용 및 효과. 의료경영학연구, 11(1), 23-35.
고숙자. (2015). 노인 건강 운동의 효과와 정책적 함의. 보건복지포럼, 2015(7).
국민건강보험공단, 의료급여수급자 건강검진수검률, 지역내 의료이용지표(2017), www.nhis.or.kr
김광기. (2015). 국내 음주폐해 감소를 위한 효과적 정책대안 모색. 보건복지포럼, 2015(3).
김수미, & 김현옥. (2019). 문제음주 대학생을 위한 사회인지이론 적용 절주 프로그램의 효과.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5(2), 223-233.
김정희 외 5(2017), 고혈압·당뇨병 자조모임프로그램 후 지식, 자가관리행위 및 자기효능감의 지속성,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 보건정보통계학회지, 42(3).
김종임 외 3명(2018), 대사증후군 위험 요인을 가진 독거노인의 질병관리교육 경험과 심혈관건강행태에 대한 융합적 연구, 한국융합학회논문지, 9(6), 329-337.
김희걸. (2015). 복합 프로그램을 적용한 방문건강관리가재가허약노인의 체력, 허약, 및 우울 개선에 미치는 영향.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6(4), 405-414.
김희걸 등 (2020). 지역사회간호학 2. 현문사
박일수 외 2명(2015), 건강위험요인 상태변화에 따른 고혈압 건강위험평가 모형 개발, 보건사회연구, 35(4), 131-156.
서울열린데이터광장, data.seoul.go.kr (2020.5.6.)
서울특별시 용산구청, www.yongsan.go.kr (2020.5.6.)
서울특별시 용산구 보건소, www.yongsan.go.kr/site/ha/index.jsp (2020.5.7.)
서한교. (2018). 근감소증 비만인에게 나타나는 대사적 감소증, 면역감소 및 운동효과. 코칭능력개발지, 20(2), 91-96.
안옥희 등 (2020). 지역사회간호학 1. 현문사
엄선옥. (2014). 건강코칭프로그램이 빈곤계층 여성노인 고혈압대상자의 자기효능감, 건강행위실천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Doctoral dissertation, 서울대학교 대학원).
이정아. (2012). 노인의 대사증후군 인지 및 신체활동 실천 요인. Korean J Health Educ Promot, 29(5).
장효순. (2014). 일 보건소 방문건강관리사업 고혈압대상자의 사례관리 효과.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8(2), 258-269.
제 33회 용산통계연보 2019
제 7기 서울특별시 용산구 지역보건 의료계획 (2019~2022)
통계청, kostat.go.kr (2020.5.7.)
KOSIS 국가통계포털, http://kosis.kr/index/index.do (2020.5.6.)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지역사회간호학-보건사업 기획과정 (용산구)”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
'간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도의 정신지체 장애 환자 케이스, 정신간호학 (0) | 2024.02.15 |
---|---|
영화 더 폴아웃(The fallout)의 비치료적 의사소통을 분석하여 치료적 의사소통 기법(12개)으로 재구성 (0) | 2024.02.15 |
아동간호학 케이스 (아데노바이러스) 피부통합성 장애, 감염의 위험 (0) | 2024.02.13 |
정신간호학 신경전달물질과 정신과약물 정리 (0) | 2024.02.13 |
자궁근종 수술실 성인실습, 병태생리, 수술방법, 수술과정, 회복실 (0) | 2024.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