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아동case/급성 폐쇄성 후두염(크룹)acute laryngotracheobronchitis/간호진단 3개, 간호과정 1개/기도개방유지불능”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https://blog.kakaocdn.net/dn/Qt70u/btsEd0VZ4OV/kGC6npcVA5C49d4BLVn8q0/img.png)
목차
1.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문헌고찰
2. 본론
1) 환자소개(history, 과거력, 신체사정, DDST
2) 진단검사
3) 투약
4) 간호과정(진단, 과정)
5) 발달연령에 따른 치료적 의사소통 적용 사례(간단)
Ⅲ. 결론
1. 대상자의 간호과정과 관련된 재평가 및 재계획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일부
1. 연구의 필요성
어떤 아이도 감염될 수 있지만, 그 중 3개월~3세의 아이들은 급성 폐쇄성 후두염과 가장 연관이 있는 시기이다.
바이러스와 같은 원인에 의해 후두점막의 부종이 심해져 기도가 좁아지면서 증상이 나타나므로, 악화될 경우에는 호흡부전에 빠져 뇌세포에 영향이 갈 수도 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 본 질환의 증상, 치료, 간호중재 등을 연구하여 환자의 보호자에게 교육을 해주며, 건강을 증진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또한 현재 입원중인 환자의 70%가 독감이고, 그 뒤를 이어 가장 많은 질환이 급성 폐쇄성 후두염이다. 그리하여 이 질환을 자세히 공부해 보고자 한다.
2. 문헌고찰
1) 병태생리
급성 폐쇄성 후두염(크루프)은 1~3세의 유아에서 흔히 나타나는 질환으로, 바이러스나 세균이 후두 점막에 침투하면서 염증을 일으켜 발생한다. 그러나 원인이 밝혀지지 않은 경우도 많다. 어떤 원인에 의해 후두점막의 부종이 심해져 기도가 좁아지면서 증상이 나타난다. 목이 쉬거나 목소리에 변화가 오고, 숨을 들이마쉴 때 소리가 나며, 개 짖는 소리와 비슷하다고 하여 개기침(barking cough)이라고 불리는 특징적인 기침이 나고, 호흡곤란 및 흉벽 함몰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2) 원인
크루프는 바이러스가 주된 원인으로 파라인플루엔자(parainfluenza) 바이러스가 75%로 가장 흔하고, 아데노바이러스나 respiratory syncytial virus, 인플루엔자 바이러스,홍역 등의 바이러스도 원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 략>
객관적 자료
WBC 12.11
ESR 27
CRP 0.39
▼P8 6종 폐렴 원인균 streptococcus pneumonia
Positive
▼Rv 19종 PCR검사 중 parainfluenza Virus 1
Positive(++)
BT 10/27 38.1 38 37.9
진단명 : 급성 폐쇄성 후두염(크룹)
잦은 기침과 가래, 컹컹기침을 보임
발열로 인해 상기된 얼굴
발열로 힘없이 축 처진 모습
땀으로 축축한 피부
칭얼거리는 모습을 보임
간호진단
질병으로 인한 증상과 관련된 고체온
참고문헌
유해영 외. 아동간호학1 (현문사.2016.02)
유해영 외. 아동간호학2 (현문사.2016.02)
드러그인포 https://www.druginfo.co.kr/search/search_main.aspx
한양대학교 구리병원
https://guri.hyumc.com/guri/healthInfo/diseaseInfo.do?action=detail&searchCondition=diseaseDiv&searchCommonCd1=0001&searchCommonCd2=4280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아동case/급성 폐쇄성 후두염(크룹)acute laryngotracheobronchitis/간호진단 3개, 간호과정 1개/기도개방유지불능”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
'간호학 케이스스터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인간호학 뇌종양 케이스 스터디(간호진단 3개, 간호과정 2개) (0) | 2024.02.02 |
---|---|
[Acute appendicitis] 간호학과-성인간호, 간호진단 및 과정 2개 (급성통증 및 수면장애) (0) | 2024.02.02 |
성인간호학 대장암 케이스 (0) | 2024.02.01 |
성인/케이스스터디/전립샘증식증/배뇨장애 (0) | 2024.02.01 |
여성간호학 요실금(SUI, TOT) CASE STUDY, 간호진단 6개, 간호과정 3개(상황적 자존감 저하의 위험성, 배뇨장애, 급성통증) (0) | 2024.0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