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성인/케이스스터디/전립샘증식증/배뇨장애”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avZQq/btsEeJzHdxg/dQDH0v9GBR4c98dlSCBVHk/img.png)
목차
1.문헌고찰
1) 정의
2) 병태생리
3) 원인
4) 증상
5) 진단
6) 치료 및 간호
2.대상자 사정
1) 일반적 사항
2) 간호력
3) 신체사정
4) 진단적 검사 및 결과
5) 투약 약물
6) 치료 경과
3.간호과정
1) 배뇨장애(Impaired urinary elimination)
2) 감염의 위험(Risk for infection)
4.참고자료
본문내용일부
Ⅰ.문헌고찰
전립샘증식증(Hyperplasia of Prostate)
1. 정의
전립샘 상피세포 수의 증가와 지지조직이 비대된 것을 말한다. 세포 크기가 커진 것이 아니라 수가 증가되어 있는 상태로 이것으로 인해 방광하부의 소변배출 통로를 막는 요로폐쇄가 나타날 수 있다. 빈뇨, 야간 빈뇨, 긴박뇨 등의 방광 저장 증상과 지연뇨, 단절뇨, 배뇨 시 힘을 주어야 하는 현상 등 방광의 배출 장애를 나타내는 증상을 통칭하는 하부 요로증상이 나타난다. 50세 이상 남성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며 남성 요로 장애 중 가장 높은 빈도를 차지한다. 최근에는 발병 연령이 점차 낮아지고 있다. 요로폐색이나 기타 합병증이 없을 때는 외과적 치료가 필수는 아니나, 80세까지 약 25% 정도는 치료를 필요로 한다. 전립샘암으로 진행되지는 않는 양성질환이다.
2. 병태생리
전립샘은 사춘기가 되면서 남성호르몬의 작용에 의해 조금씩 커지며 30세 전후에 밤톨 크기가 된다. 그 후 변화가 없다가 40세 이후에 다시 전립샘의 성장이 진행되는데 전립샘암과는 달리 전립샘 내부에서 발생된다. 전립샘 상피세포의 증가는 점차적으로 요도를 압박하여 결국 부분적 또는 완전 요도폐색을 초래한다. 궁극적으로 임상증상을 유발하게 되어 폐색증상 일으키게 되는데, 이는 전립샘이 비대된 부위와 관련이 있으며 전립샘의 크기와 요도 폐색 정도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따라서 경한 비대증로도 심한 폐색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심한 비대증이 진행되어도 가벼운 폐색증상을 보일 수 있다.
3. 원인
전립샘증식증의 원인은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흔히 노화 과정과 관련된 내분비장애의 영향으로 보고 있다. 현재 인정되는 발병원인은 고환 기능의 노화에 의한 것이다. 전립샘은 남성호르몬 의존 기관으로 성장과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 지속적인 남성호르몬이 필요하며, 거세로 인해 남성호르몬이 생성되지 않으면 전립선이 위축된다. 안드로겐, 에스트로겐, 5-α환원효소의 증가로 인해 전립샘 세포가 증식되어 전립샘 조직이 비대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윤은자 외, 성인간호학(9판)1/2, 수문사, 2019
박금주 외, 비판적 사고와 간호과정, 계축문화사, 2019
김종인 외, EBN 기본간호학Ⅰ/Ⅱ, 수문사, 2018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main.asp
대한전립선학회 http://www.theprostate.org/infor/sub3.php
대한비뇨의학회 http://www.urology.or.kr/health/sub08.html
이민호 외, 전립선비대증에 대한 최소침습 수술적 치료의 효과 및 안전성에 대한 체계적 고
찰, 대한비뇨기종양학회지, 17(3), 2019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https://m.cmcseoul.or.kr/page/health/magazine/detail/265?p=1&s=5&q=%7B%7D
서울아산병원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0607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성인/케이스스터디/전립샘증식증/배뇨장애”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
'간호학 케이스스터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동case/급성 폐쇄성 후두염(크룹)acute laryngotracheobronchitis/간호진단 3개, 간호과정 1개/기도개방유지불능 (0) | 2024.02.01 |
---|---|
성인간호학 대장암 케이스 (0) | 2024.02.01 |
여성간호학 요실금(SUI, TOT) CASE STUDY, 간호진단 6개, 간호과정 3개(상황적 자존감 저하의 위험성, 배뇨장애, 급성통증) (0) | 2024.02.01 |
신생아실 casestudy 신생아 용혈성 질환(hemolytic disease of the newborn, HDN) - Rh부적합증 간호진단 2개, 간호과정 2개 (0) | 2024.01.31 |
성인간호학실습_case study_원위요골골절 (0) | 2024.01.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