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학 케이스스터디

성인간호학 뇌종양 케이스 스터디(간호진단 3개, 간호과정 2개)

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성인간호학 뇌종양 케이스 스터디(간호진단 3개, 간호과정 2개)”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Ⅰ. 문헌고찰
1. 정의
2. 원인
3. 병태생리
4. 증상
5. 진단
6. 치료 및 간호

Ⅱ. 간호사례
1. 간호사정
2. 진단적 검사 및 약물

Ⅲ. 간호과정 적용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일부

- 뇌종양이란 두개골 내에 생기는 모든 종양을 말하며, 뇌 및 뇌 주변 구조물에서 발생하는 모든 종양을 포함하여 말한다.
- 다른 종양과 뇌종양을 구별하는 가장 큰 특징은 종양이 두개골 안에서 성장한다는 것인데, 두개골 안에서는 팽창할 수 있는 여유 공간이 없다. 종양이 커지며 뇌압이 상승하면 두통이나 구토 등의 뇌압상승 증상이 나타날 수 있고, 종양에 의해 특정 부위가 눌리면서 압박될 경우에는 해당 부위의 뇌가 담당하는 특정 기능에 장애가 발생하기도 한다. 또한 뇌종양이 다른 기관으로 전이되는 경우는 거의 없다.
- 대부분의 중요한 종양들은 남녀 모두에게서 동일한 빈도로 발생하지만, 수막종 같은 일부 종양은 여성에게 더 자주 발생하고, 수모세포종은 소년과 젊은 남성에게서 더 흔하다.
① 발생하는 부위- 원발성 : 뇌 조직이나 뇌막 등에서 발생한 경우- 이차성 : 신체의 다른 암에서 혈관을 타고 뇌로 전이된 경우
② 악성도- 악성 뇌종양(악성 신경교종, 뇌전이암)- 양성 뇌종양(뇌수막종, 청신경초종, 뇌하수체종양, 양성 신경교종 등)
③ 종양을 구성하는 세포 : 신경교종, 뇌수막종, 신경초종, 뇌하수체종양 등으로 구분
- 그중에서 흔한 원발성 뇌종양으로는 신경교종이 40% 정도로 가장 많고, 수막종이 20%, 뇌하수체선종이 15%, 신경초종이 15%, 기타 종양 10% 정도이다.

• 원발성 뇌종양과 전이성 뇌종양
원발성 뇌종양은 뇌 자체에서 발생한다. 원발성 뇌종양은 다시 두 부류로 나뉘는데, 주변의 신경조직을 침윤하는 신경교종과 뇌조직을 침윤하지 않고 압박하는 비교종성으로 나뉜다. 주변 신경조직을 침윤하는 경우는 수술로 완치되는 경우가 매우 드물어 항암화학요법이나 방사선치료가 추가로 필요할 수 있다. 뇌조직을 압박하면서 성장하는 종양은 수술로 완치될 수 있는 경우가 많다.
전이성 뇌종양은 폐암, 유방암, 소화기계 암이 뇌로 전이되어 발생되는 이차성 뇌종양으로 수술이나 방사선수술 또는 방사선치료로 치료를 하지만, 원발암의 병기와 치료 반응에 따라 환자의 예후가 결정된다.

 

참고문헌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646456&cid=60406&categoryId=60406
https://www.cancer.go.kr/lay1/S1T327C328/contents.do
https://www.cancer.go.kr/lay1/S1T378C379/contents.do
https://www.cancer.go.kr/lay1/S1T471C472/contents.do
약품 정보(드럭인포) : https://www.druginfo.co.kr/index.aspx
윤은자 외 11명 「성인간호학Ⅱ」, 수문사, 2021 p.1161~1187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성인간호학 뇌종양 케이스 스터디(간호진단 3개, 간호과정 2개)”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