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학 케이스스터디

성인간호학실습_case study_원위요골골절

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성인간호학실습_case study_원위요골골절”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1) 일반정보

2) 병력

3) 신체사정
(1) 전신상태
(2) 피부
(3) 폐
(4) 심장
(5) 비뇨기계
(6) 소화기계 및 영양
(7) 신경계통

4) 질환에 대한 병태생리, 질병 과정, 수술 및 치료(수술의 주요 특징 그에 따른 주요 간호)
(1) 정의
(2) 종류
(3) 증상
(4) 원인과 병태생리
(5) 진단 검사 및 결과
(6) 수술적 치료 및 간호

5) 자료수집(Data Collection)
(1) 검사소견(아래의 예시와 같이 작성하고 정상치에 단위를 반드시 기록할 것)
(2) 영상의학 검사 및 조직 검사 등
(3) 주사 약물

6) 간호 문제 리스트

7) 간호과정 사례보고서 양식

8) 참고문헌

9) 비판적 사고

 

본문내용일부

③ 증상
- 외상 이후 손목이 심하게 붓거나 아픔.
- 골절 부위의 출혈이 퍼지면서 피부에 멍이 들 수 있음.
- 골절 부위가 외관상 변형될 수 있음.
- 신경 손상(정중신경)을 동반하는 경우 손끝 저림, 감각 이상, 손가락 운동 장애 등이 있을 수 있음.

④ 원인과 병태생리
- 전체 골절 중 15~20%를 차지하며 노인, 특히 여자에서 뼈가 약하고 낙상으로 인해 흔함
- 과거와 달리 최근에는 교통사고, 산업재해, 스포츠 활동의 다양화로 젊은 층에서도 그 빈도가 증가함.
- 원위 요골 관절 골절은 대부분은 손목관절이 손등으로 젖혀진 상태에서 손을 짚고 넘어져서 발생함.

⑤ 진단 검사 및 결과
- 진찰과 x-ray 검사로 쉽게 진단됨.
- 관절이 심하게 침범된 경우 컴퓨터 단층 촬영(CT), 자기공명영상(MRI) 등의 검사가 필요하기도 함.

⑥ 수술적 치료 및 간호
※ 외부 고정 장치 : 골절이 치유될 수 있도록 외부적으로 골절편을 고정하는 방법
- 외부적 금속 고정은 정복되기 어려운 복합 골절에 사용.
- 광범위한 연조직 손상을 동반한 개방성 골절, 분쇄성 골절, 총상으로 인해 뼈의 일부가 상실된 골절, 감염된 골절, 화상과 함께 복잡한 골절 등이 적용 대상.
※ 내부 고정 장치 : 내부고정은 나사, 막대기, 철판, 못, 핀을 이용하여 정복한 골절을 고정하는 방법
- 고정에 사용되는 금속은 이물질 반응이 거의 없으나 개인에 따라 알러지 반응을 일으키기도 함.
- 비수술적 치료가 실패했거나 불가능할 때 정복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됨.

※ ORIF(open reduction internal fixation) : 개방 정복술 및 내부 고정술
: 골절부위를 수술로 노출시켜 골절편 사이에 끼어있는 연부조직이나 혈종 등 정복을 방해하는 인자들을 모두 제거하고 직접 눈으로 보면서 정확하게 정복하여 견고한 내고정을 실시.
▸장점 : fixation이 견고하여 관절의 조기 운동과 바로 기능회복을 도모할 수 있음.

 

참고문헌

원위 요골 골절 정의와 종류: 네이버 지식 백과, 서울대학교 병원 신체 기관 정보, 서울 아산 병원, http://www.amc.seoul.kr/
손목 골절의 종류 사진: https://ferstx.tistory.com/775
원위 요골 골절: 서울 아산 병원, http://www.amc.seoul.kr/
수술 후 관리: 윤은자 외 11(2019), 성인 간호학 1, 2, 수문사
Distal radius fracture의 합병증
강종우, 박종웅(2013), 원위 요골 골절의 합병증, J Korean Orthop Assoc, p. 165 – 174
혈액 및 소변 검사 임상적 의의
[출처] Lap 결과 정상수치 및 임상적 의의(hematology, ABGA, Urinalysis, blood chemistry 등)|작성자 자몽이
CT: [출처] 응급실 약물검사정리 EKG CT 적응증금기부작용 검사방법|작성자 조커윤
주사 및 경구용 약물: 약학정보원
이론적 근거
박은영 외 공역(2017),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 p.18-21
박은영 외 공역(2017),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 p.241-246
박은영 외 공역(2017),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 p.257-262
윤은자 외 11(2019), 성인 간호학 2, 수문사, p. 1603
송경애 외 18(2020), 기본 간호학 1, 수문사, p. 145, 229-230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성인간호학실습_case study_원위요골골절”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