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NOS 종양(Malignancy NOS) 케이스 스터디, 간호과정”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JoxZe/btsEaZhXcGF/RqpV57PPVheQFKpKrvp9qK/img.png)
목차
1. 연구의 필요성
2. 문헌고찰
3. 간호사정
4. 간호진단
5. 간호과정
본문내용일부
연구의 필요성
현 사회에서 암은 사망 원인 1위를 차지하며 현대인의 가장 두려워하는 질병 중 하나이다. 대상자는 malignancy NOS를 진단받고 복부 통증을 호소하며 ER 통해 내원했다. 항생제 등 기타 약물과 함께 안정제를 복용하는 모습에 관심을 갖고 자세히 알아보기 위해 이번 주제로 선정하게 되었다.
문헌고찰: Cancer(malignancy NOS)
암(cancer, malignancy tumor): 보통 ‘종양’이라고 하면 신체 조직의 자율적인 과잉 성장에 의해 비정상적으로 자라난 덩어리를 의미하며, 양성종양과 악성종양(malignant tumor)으로 구분할 수 있다. 양성종양이 비교적 성장 속도가 느리고 전이되지 않는 것에 반해 악성종양은 주위 조직에 침윤하면서 빠르게 성장하고 신체 각 부위에 확산되거나 전이되어 생명을 위협하게 된다. 악성종양을 암과 동일한 의미로 생각할 수 있다.
1. 원인
암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은 정확히 알려져 있지는 않으나 흡연, 식이 습관, 음주, 유전인자, 방사선에의 노출, 환경 오염, 각종 약물, 바이러스 감염 등이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암의 예방을 위해서는 그 원인을 명확히 알고 있어야 하나, 아직 대부분의 암의 원인이 명확히 알려져 있지 않기 때문에 암을 완전하게 예방할 수는 없다.
<중 략>
- 염증 반응과 관련된 고체온
진단적 계획
① 주기적으로 V/S 및 체온을 측정한다.
② 피부상태(온도, 색깔, 손상)를 사정한다.
③ 미생물 검사, 혈액 검사, CT, 간 기능 검사, 염증 검사 등을 통해 염증의 양상을 사정한다.
치료적 계획
① 처방에 따라 항생제를 투여한다.
② 처방에 따라 해열제를 투여한다.
③ 편안하고 조용한 환경을 제공한다.
④ 간호 시행 1시간 30분 후에 체온을 재측정한다.
교육적 계획
① 고체온으로 인한 발열, 오한, 두통 등의 증상에 대해 설명하고 말로 표현하도록 교육한다.
② 미온수 마사지 및 얼음 팩을 통한 냉요법 방법에 대해 교육한다.
참고문헌
김금순 외(2016). 성인간호학Ⅰ. 경기도 : 수문사. 532-533p
조경숙 외(2013). 성인간호학 상. 경기도 : 현문사. 461p
KIMS 대한민국의약정보센터, http://www.kimsonline.co.kr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현문사
암,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http://www.snuh.org/
MSD 매뉴얼 일반인용, Robert Peter Gale, MD, PhD, DSC(hc), Imperial College London, 2022.09.01
국가암정보센터, 항암화학요법의 이해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암병원, 암정보, 암환자간호, https://www.cmcvincent.or.kr/cancer/page/main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NOS 종양(Malignancy NOS) 케이스 스터디, 간호과정”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
'간호학 케이스스터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인간호학실습_case study_원위요골골절 (0) | 2024.01.31 |
---|---|
아동간호학실습 급성신우신염 CASE STUDY (0) | 2024.01.30 |
[아동간호학실습] 급성 위장염(AGE - acute gastric enteritis/과제물/급성 위장염 문헌고찰/급성 위장염 간호진단 5개/급성 위장염 간호과정 2개/전해질 불균형의 위험/고체온/급성 통증/감염 위험성/.. (0) | 2024.01.30 |
간호학과 케이스(흡인성폐렴, aspiration pneumonia) (0) | 2024.01.30 |
대장암(colon cancer)환자 간호 케이스스터디(간호진단 6개, 간호과정 3개- 급성통증, 감염위험성, 영양불균형의 위험) (0) | 2024.0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