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간호학과 케이스(흡인성폐렴, aspiration pneumonia)”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svHrn/btsEdTAS71r/RR3gO38KQY1eloXmZItcO1/img.png)
목차
Ⅰ. 서론
1. 문헌고찰
Ⅱ. 본론
1. 간호과정
2. 교육 계획안
Ⅲ. 참고문헌
본문내용일부
(1). 정의
흡인성 폐렴(Aspiration pneumonia)은 구강이나 위 내용물이 기도로 흡입되어 유발된다.폐렴은 병을 일으키는 병원균이 폐에 감염되어 발생하는 급성 염증성 호흡기 질환을 의미한다. 감염 장소에 따라서 병원 내 감염과 병원 외 감염으로 구분한다. 병원 내 감염은 병원에 입원하고 있는 환자에게 입원 48시간 이후에 발생한 모든 감염성 폐렴을 말하는데 사망률이 높은 편이다. 흡인성 폐렴은 기관지 및 폐로 이물질이 들어가 생기는 폐렴으로, 주로 병원 내 감염 폐렴의 중요한 원인이 되며 주로 의식수준이 저하 (발작, 마취, 두부손상, 알코올 섭취, 뇌졸중 등)되어 구개반사나 기침반사가 억제된 환자와 위관영양을 하는 환자에게 호발한다.
(2). 병태생리
폐렴의 병태생리 과정
일반적으로 흡인에 의한 병원 내 감염페렴을 일으키는 흔한 병원균은 슈도모나스,황색포도상구균,대장균,크랩시엘,그람 음성 간균, 혐기성 세균 등 다양하다. 흡인에 의한 병원 내 감염 폐렴의 발생 기전은 환자의 입안에 있는 세균이 기관지로 흡인되는 것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인정되고 있다. 정상인에서 폐의 방어기전이 잘 유지가 되므로 흡인이 되더라도 실제로 폐렴이 생기는 경우 드물지만 면역 기능이 떨어져 있는 환자들에서는 입안의 세균이 흡인됨으로써 심각한 병원 내 감염 폐렴이 발생할 수 있다.특히 중환자실에 입원하고 있으면서 시관 내 삽관이 되어 있는 환자의 경우에는 폐의 방어기전이 저하되어 입안이나 위장에 존재하는 세균이 폐로 흡인되면서 폐렴을 잘 일으킨다.
(3). 원인
일반적인 폐렴은 환자의 방어기전이 병원체의 독성에 대항하지 못할 때 폐렴이 발병한다. 병원체는 체내에 삽입되는 기구, 기계, 물품과 직원 또는 다른 사람들에 의해 신체에 침입할 수 있다 폐렴은 세균, 바이러스,mycoplasma, 진균, 리케차, 원충 또는 기생충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폐렴의 비감염성 요인으로는 독성가스, 화학물질, 담배연기 등의 흡입과 물, 음식, 수액, 구토 등에 의한 흡인을 들 수 있다.
참고문헌
윤은자 외 11명(2019), 성인간호학1, 수문사, p.627~p.630
김창균(2016), 조선일보, 폐렴을 조심하라, 2020.05.26 https://www.google.com/amp/m.chosun.com/news/article.amp.html%3fsname=news&contid=2015120802435, 2020.05.26.
네이버 지식백과, 흡인성폐렴, http://naver.me/G9EW9NDx, 2020.05.26
백제종합병원(2011), 흡인성폐렴, http://me2.do/GFD2Z4Ux, 2020.05.26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흡인성 폐렴(Aspiration pneumonia), http://me2.do/FUW3Oiwk, 2020.05.26
세브란스병원 질환정보(2005), 흡인성폐렴, http://me2.do/Fg6uC3QK, 2020.05.26.
질병관리본부, 폐렴(성인), http://me2.do/5z3I6GAA, 2020.05.26
세브란스 병원 질환정보(흡인성 폐렴), http://sev.iseverance.com/health_info/disease_info/health_FAQ/view.asp?con_no=2059&page=86&SearchField=&SearchWord=&orderBy=open_date%20DESC&rnum=769, 2003.05.10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간호학과 케이스(흡인성폐렴, aspiration pneumonia)”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
'간호학 케이스스터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NOS 종양(Malignancy NOS) 케이스 스터디, 간호과정 (0) | 2024.01.30 |
---|---|
[아동간호학실습] 급성 위장염(AGE - acute gastric enteritis/과제물/급성 위장염 문헌고찰/급성 위장염 간호진단 5개/급성 위장염 간호과정 2개/전해질 불균형의 위험/고체온/급성 통증/감염 위험성/.. (0) | 2024.01.30 |
대장암(colon cancer)환자 간호 케이스스터디(간호진단 6개, 간호과정 3개- 급성통증, 감염위험성, 영양불균형의 위험) (0) | 2024.01.29 |
Pneumonia CASE STUDY (1) | 2024.01.29 |
신생아 패혈증 (sepsis) 케이스스터디 (간호진단2개, 간호과정2개) (0) | 2024.0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