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Pneumonia CASE STUDY”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0eizI/btsEbEXE6i4/NUYCuyicKtTGTfUALOxMgk/img.png)
목차
Ⅰ. 서론
1. 일반 정보
2. 과거력
3. 교환영역
4. 문헌고찰
5. 낙상/욕창/통증 사정
6. 임상소견
7. 약물
Ⅱ. 본론
1. 간호 과정
참고문헌
본문내용일부
1) 병태생리와 원인
조직학적으로 편평상피암(squamous cell carcinoma)과 선암(adenocarcinoma)으로 구분된다. 편평상피암은 식도암의 95%를 차지하며, 식도상부 1/3이상 부위 에서 발견된다. 식도는 위나 큰창자와 달리 장막(sero sal layer)에 싸여있지 않아 급속히 림프관을 타고 주변 장기인 심장, 대동맥으로 퍼져나가면 대부분 수술이 불가능하다.
선암의 발생률은 최근 현저히 증가하고 있다. 선암은 대부분 만성 위식도 역류에 의한 바렛식도[정상 식도점막은 중층 편평상피인데, 위식도 역류로 인해 반복적으로 손상 입은 식도점막이 원주상피(columnar epithelium)로 화생(metaplasia)한 것으로서 위액 자극으로 세포는 결국 악성이 된다. 바렛식도를 가진 대상자의 약 0.5%는 1년 내에 식도암이 발생된다.
오랜 음주와 흡연은 편평상피암의 발생위험과 밀접하게 연관되고 이 밖에도 비후화(tylosis: 굳은살이 생기는 것), 식도 이완 불능증, 부식성 식도협착, 다른 두경부암 등이 있는 경우 식도암 발생 위험이 증가한다.
2) 임상증상
● 초기에는 대부분 무증상이다.
● 구토, 쉰 목소리, 만성기침, 철분결핍성 빈혈
● 점진적인 삼킴 곤란
- 식도 지름의 60%가 폐색될 때까지 증상이 없다.
- 고형식에서 차츰 유동식까지 삼키기 어렵다.
- 삼킴곤란은 진행성으로 나타난다.
● 삼킴통증(odynophagia): 둔하고 지속적이다.
● 역류(regurgitation): 식도 내에 정체된 음식 때문에
악취가 난다.
● 가슴앓이 (heartburn, pyrosis)
● 식욕부진, 체중감소: 2~3개월 내에 15kg까지 감소 할수있다.
3) 진단검사
바륨연하검사, 내시경검사, 세포검사, 식도 조영술,
CT, 식도 초음파 내시경 등을 실시한다. CT는 식도암의 전이 여부를, 식도 초음파 내시경 검사는 암의 침윤상태와 림프절의 전이 여부를 파악한다.
참고문헌
황옥남 외, 성인 간호학 하권, 제7판, 서울 : 현문사, 2019, 379~382, 357~358, 561~564p
한국기초간호학회, 병태생리학과 임상적용, 제 4판, 서울 : ELSEVIER, 2021, 295~297p
성미혜 외, 근거기반간호 간호 과정, 경기도 파주시, 2014, 71~98p
국립암정보세포 https://www.cancer.go.kr/
드러그인포플러스, 약물 정보, 부작용, 투여 경로, 제품명, 효능, 부작용, 용량
https://total.druginfo.co.kr/Pharmacy/Introduction/MAINBOARD.aspx?type=MAIN&ckey=BITHOSPITALINFO&key=11289999
노인 환자의 영양 평가와 영양 불량의 치료, 제주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송현주
저소득층 노인을 위한 맞춤영양관리 프로그램의 개발과 시범 적용 연구, 도현주,이영미
여성노인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신동수,정영미
학술자료: 『Intensive Care Unit-Acquired Weakness: Not Just Another Muscle Atrophying Condition』(2020). 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s. mdpi. p. 1~30. Penney M. Gilbert
학술자료: 『Contributing factors for acquired muscle weakness in intensive care unit』(2016). Hayam Ibrahim Asfour.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and Practice
학술자료: 『중환자실 퇴원환자의 집중치료 후 증후군과 삶의 질』(2016). 중환자간호학회지. Vol. 9, No. 1, p.1-14.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중환자실 간호사. 동아대학교 간호학과 교수. 김수경, 강지연
·노인 환자의 영양 평가와 영양 불량의 치료, 제주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송현주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Pneumonia CASE STUDY”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
'간호학 케이스스터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호학과 케이스(흡인성폐렴, aspiration pneumonia) (0) | 2024.01.30 |
---|---|
대장암(colon cancer)환자 간호 케이스스터디(간호진단 6개, 간호과정 3개- 급성통증, 감염위험성, 영양불균형의 위험) (0) | 2024.01.29 |
신생아 패혈증 (sepsis) 케이스스터디 (간호진단2개, 간호과정2개) (0) | 2024.01.26 |
성인간호학 케이스 스터디 (일반외과 결석성 담낭염) (0) | 2024.01.26 |
회전근개, 회전근개 파열, 회전근개 ARCR 실습 case 간호진단 2개 (0) | 2024.0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