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학 케이스스터디

신생아 패혈증 (sepsis) 케이스스터디 (간호진단2개, 간호과정2개)

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신생아 패혈증 (sepsis) 케이스스터디 (간호진단2개, 간호과정2개)”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1.문헌고찰
2.환자 사정자료
3.진단적 검사
4.약물 (현재 처방된 모든 약물)
5.간호과정

 

본문내용일부

문헌고찰: <신생아 패혈증>

정의
패혈증(sepsis or septicemia)은 혈액 내에 세균감염이 있어 발열, 빠른 맥박, 호흡수 증가, 백혈구 수의 증가 또는 감소 등의 전신에 걸친 염증 반응이 나타나는 상태를 말한다.
신생아 패혈증의 경우, 생후 1개월(길게는 3개월) 미만의 신생아에서 발열이나 저체온, 빈맥, 빈호흡 등의 이상이 있고 혈액균 배양 검사에서 세균이나 바이러스, 진균 등이 자라는 상태를 말한다. 신생아 패혈증은 발병 시기에 따라 크기 생후 3일(길게는 1주일) 이내에 나타나는 조기 발현 신생아 감염(early-onset neonatal sepsis)과 그 이후에 증상이 발현하는 후기 발현 신생아 감염(late-onset neonatal sepsis)으로 나누어진다.

병태생리/원인
조기 발현 신생아 패혈증(early-onset neonatal sepsis)은 대개 출생 24시간 안에 나타나는데, 태어나기 전 어머니의 혈액에서 태반을 통해 전해지거나 분만 중에 감염된 양수를 마셨을 때 등의 경우에 걸릴 수 있다. 임신 중 사슬알균 B군 감염, 조기 분만, 24시간 이상 지속된 태반 파열, 태반 조직과 양수의 감염 등이 조기 발현 신생아 패혈증에 걸릴 위험을 높인다. 이는 정상 만삭아에 비해 1,000g 미만의 극소 저체중 출생아에서 조기 발현 패혈증의 빈도가 10배 정도 더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후기 발현 신생아 패혈증(late-onset neonatal sepsis)은 분만 이후에 생기는 감염이 원인이다. 오랫동안 혈관 내 주사를 유지하고 있거나, 병원에서 오래 입원해 있는 경우에 발생 위험도가 커진다.
대장균과 연쇄상구균 또는 포도상구균이 패혈증의 대표적인 원인균으로 알려져 있으며, 인플루엔자와 장내 세균도 원인균 중의 하나이다.

증상/징후
성인에서 패혈증이 발열이나 저체온, 빈맥, 빈호흡, 백혈구의 증가 또는 감소, 혹은 미성숙 백혈구의 증가 등이 나타나는 데 반하여, 신생아는 보챔, 늘어짐, 체온 불안정, 관류 장애, 저혈압, 구토 등의 비특이적 증상으로 나타난다.

 

참고문헌

아동간호학, 김영혜 외, 현문사, 2015
기본간호학1, 양선희 외, 현문사, 2014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원종순 외, 현문사, 2014
NANDA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차영남 외, 현문사, 2013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신생아 패혈증 (sepsis) 케이스스터디 (간호진단2개, 간호과정2개)”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