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제I형 양극성장애 CASE STUDY”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1. 질병 기술(원인, 양상)
2. 사정(일반적 배경, MSE, 임상심리검사, 활동요법, 약물치료)
3. 간호과정
4. 참고문헌
본문내용일부
1. 생물학적 요인
양극성장애는 유전적 소인이 높은 질환으로 부모 중 한 명이 양극성장애일 때 25%, 부모 모두가 양극성장애일 때 50~70% 확률로 자녀에게 양극성장애가 나타난다. 양극성장애의 발병원인이 되는 유전자나 취약 유전자, 발병 양식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명확히 밝혀지지 않은 상태이다. 그러나 최근 DGKH(diacyglycerol kinase eta), 비정상적인 일주기 유전자 등이 관련되며, 조현병과 양극성장애가 비슷한 유전적 근원을 가지고 있다는 연구결과들이 보고되고 있다.
신경전달물질 측면으로는 노르에피네프린(norepinephrine), 도파민(dopamine), 세로토닌(serotonin)이 결핍되면 우울증, 과잉 공급 시에는 조증을 발생시키나, 물질의 양보다는 상호연관된 신경전달물질의 비율과 수용체의 비감수성이 더 근본적인 문제일 수 있다. 양극성장애는 변역계의 생체아민 신경전달물질체계 기능 손상으로 수면, 식욕, 각성, 성기능, 내분비 기능, 공포나 분노 같은 감정 상태의 조절이상, 도파민을 포함한 여러 신호체계를 조절하는 능력의 손상 등이 나타난다. 뇌영상을 통해 뇌의 구조적 및 기능적 변화를 확인하였으며, 특히 정서·동기·기억·공포와 관련된 변연계의 변화 소견이 발견되었다.
2. 심리사회적 요인
인지적 관점에서 자신과 세상에 대한 잘못된 믿음과 높은 성취목표가 양극성장애 발생에 기여한다고 보고 있고, 목표달성에서의 비기능적 태도 등으로 인해 점점 더 정상 수준을 벗어난 행동을 추구하게 된다. 정확한 이유는 불분명하나 사회경제적 측면에서 우울장애에 비해 교육수준 및 직업적 지위가 더 높고, 일반인보다는 예술가나 작가, 고학력, 전문직의 비율이 높다는 결과가 있다. 양극성장애의 삽화에 환경에 의한 스트레스가 선행되는 경우가 많으며, 특히 첫 삽화 발현 전에 과도한 스트레스 생활사건을 경험한 환자들이 많이 있다. 첫 번째 삽화 때 동반된 스트레스가 뇌의 생물학적 변화를 일으키고, 이는 결국 신경전달물질체계나 신경세포 내 신호체계 변화 ......<중 략>
참고문헌
00병원 차트 기록
김선아 외 공저, 제8판 정신간호총론, 수문사, 2020
드러그인포, https://www.druginfo.co.kr/index.aspx
약학정보원,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2091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제I형 양극성장애 CASE STUDY”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
'간호학 케이스스터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왕절개 case study(제왕절개 수술과 관련된 급성통증, 유방울혈과 관련된 비효과적 모유수유) (0) | 2024.01.24 |
---|---|
정신실습 조현병 study case-영화 셔터아일랜드 케이스, 진단2개 과정1개 (0) | 2024.01.23 |
비파열성뇌동맥류 Case Study (간호진단 3개) (0) | 2024.01.19 |
성인간호학, DM foot(당뇨발, 당뇨병성 족부병변) Case study(케이스스터디), 당뇨와 관련된 피부통합성 장애 (0) | 2024.01.19 |
뇌경색케이스 스터디, 뇌졸중 케이스스터디 (0) | 2024.0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