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학 케이스스터디

정신실습 조현병 study case-영화 셔터아일랜드 케이스, 진단2개 과정1개

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정신실습 조현병 study case-영화 셔터아일랜드 케이스, 진단2개 과정1개”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A. 조현병 문헌고찰
1. 정의
2. 원인
3. 증상
4. 치료

B. 사례보고서 (영화/Vsim 사례 등 참고)
1. 간호사정
2. 간호과정
3. 참고문헌
4. 소감문

 

본문내용일부

조현병은 정신분열병이라고도 불리며, 부정적인 어감으로 편견을 조장해 치료를 방해한다 여겨져서 2011년에 조현병으로 병명이 개정되었다. ‘조현’은 현악기의 줄을 고른다는 뜻으로 현악기의 줄이 적당히 긴장을 유지하고 있어야 제 기능을 발휘하듯이 인간의 정신도 적절하게 튜닝이 되어야 제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결국 ‘조현’은 뇌신경계를 구성하는 신경회로들의 상호 작용에서 튜닝이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문제가 발생한 뇌기능 저하 현상을 은유적으로 표현한 용어이다.

일반적으로 조현병은 인구의 약 1%에 해당하는 빈도가 높은 질환이다. 세계 각지에서 실시된 조현병의 역학연구에서는 1000명당 3~10명 사이의 유병율이 보고되었다. 발병율은 남녀간 차이를 보이지 않으나, 발병 연령이 남자는 15~25세가 가장 많은 반면에 여자는 남자보다 약 10년 정도 늦게 나타나고 질병의 예후는 여자가 남자보다 좀 더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정학한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다. 최근 학계에선는 뇌의 기질적 이상을 그 원인으로 보고 있다.

조현병의 유형으로 긴장형(catatonic type)은 15~25세 사이 호발하며 대개 정신적 외상 후 급성으로 발병하여 심한 정신운동의 장해이다. 이 유형은 행동이 기이하고 극적이기 때문에 초기에 치료할 수 있으며 치료에 대한 반응이 좋아 예후가 가장 좋다. 해체형(disorganized type)는 파괴형에 해당되며, 초기 청소년기에 점진적으로 발병하여 만성적으로 경과한다. 그러기에 사고와 감정의 혼란, 퇴행, 인격의 황폐화가 가장 심한 유형이고, 예후가 가장 안좋다. 편집형(paranoid type)는 다른 유형보다 30대 전후로 늦게 발병되고 만성적으로 경과한다. 망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유형이다. 잔류형(residual type)은 정신분열증의 급성 활동성 증상은 회복되었으나 일부 증상(사회적 고립, 행동적/인지적 변화 등)이 아직 지속되고 있는 유형이다. 미분류형(undifferentiated type)는 증상이 혼합되어 있어 정의된 유형이 맞지 않는 유형이다.

 

참고문헌

서울아산병원 - 조현병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578
국립정신건강센터 - 조현병 http://ncmh.go.kr/kor/data/snmhDataView.jsp?no=8530&fno=39&gubun_no=0&pg=1&search_item=0&search_content=&menu_cd=K_09_01_00_00_T0
고려대학교안암병원-조현병 http://anam.kumc.or.kr/dept/disease/deptDiseaseInfoView.do?BNO=338&cPage=&DP_CODE=AAPY&MENU_ID=004005
네이버 지식백과 -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조현병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119928&cid=51004&categoryId=51004
정신건강간호학, 현문사, 수정판 (2020), p246~276
정신건강이야기(블로그), 조현병 발생원인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imgye1&logNo=221165929571&proxyReferer=https:%2F%2Fwww.google.com%2F
영화 (셔터 아일랜드)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정신실습 조현병 study case-영화 셔터아일랜드 케이스, 진단2개 과정1개”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