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학 케이스스터디

노인 Case study 영양과 관리

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노인 Case study 영양과 관리”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문헌고찰
1. 노화가 영양상태에 미치는 영향
2. 사회심리적 요인
3. 노인의 포괄적 영양사정 내용
4. 영양문제
5. 영양관리
6. 간호과정

Ⅲ. 간호진단

Ⅳ. 건강예방교육자료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일부

Ⅰ. 서론
<영양> 선택배경
부적절한 식생활은 여러 질병의 발생과 깊은 관련이 있습니다. 인간은 식생활로부터 생명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영양분을 공급받아 정상적인 활동을 할 수 있습니다. 영양 상태가 양호하면 질병에 대한 저항력이 강해지고 질병 예방 효과가 있지만, 영양 상태가 불량하면 면역기능이 떨어지고 신체 기관 기능의 약화를 초래합니다. 또 영양이 과잉되면 비만, 고혈압, 심혈관질환 같은 만성 질환의 발생률이 증가합니다. 만성 질환은 주의를 기울이면 예방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한 식생활 실천이 중요하다고 생각하였습니다. 따라서 저희 조는 노인의 건강에 있어서 영양이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고 생각하여 선택하게 되었습니다.

Ⅱ. 문헌고찰
1. 노화가 영양상태에 미치는 영향
1) 생리학적 요인
(1) 저작 기능 변화: 치아손실, 침 분비 감소
- 음식물 씹기, 삼킴 능력 저하, 구강건조증은 식욕저하 유발
- 의치사용 노인: 건조증, 음식의 맛 잘 느끼지 못해 영양결핍 초래
- 섬유질이 많은 음식을 피하고 부드럽고 칼로리가 높은 식품만 섭취하는 경향 있음

(2) 감각의 변화
- 미각, 후각의 변화: 조리에 흥미를 잃게되어 음식의 종류가 줄어들고 음식섭취의 어려움
- 시각 변화: 음식준비 및 음식 섭취의 어려움
- 청각 변화: 식사 시 사교적 즐거움 감소(혼자 식사하길 선호), 식욕 감소

(3) 위장관의 변화
- 위장관 운동성, 소화효소 감소: 소화능력 저하, 조기포만감, 위 배출 시간 지연으로 식욕
부진과 영양결핍 발생
- 위점막 위축, 내인자, 염산, 펩신 분비 감소: 비타민B12, 엽산, 철분 흡수 방해→악성빈혈
- 소장점막 위축: 비타민D, 칼슘 흡수 저하 → 골다공증 초래
- 대장점막 위축: 연동운동 감소 → 변비유발

(4) 대사의 변화
- 체실질조직 감소하여 세포대사율 감소로 에너지 요구량이 감소, 근육 단백질 고갈 가능
- 신기능 저하: 대사 노폐물 청소율 감소
- 췌장 랑게르한스섬의 세포 수 감소: 당내인성 감소 → 당뇨병 발생가능성 증가

 

참고문헌

정담미디어, 박명화 외, 노인간호학 4판
수문사, 김금순 외, 성인간호학Ⅰ
한국연구재단, 최윤정,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영양교육 프로그램 및 식생활 지침서 개발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695c7ada7e580906&control_no=105c8e7521e712fd
https://khna.or.kr/homecare/06_diges/gastro07.php
식품의약품안전처 어르신을 위한 식생활 길라잡이 최종 참고, https://www.mfds.go.kr/index.do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노인 Case study 영양과 관리”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