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임신성고혈압,임신성당뇨(PIH,GDM)케이스스터디_제왕절개,고위험산모”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https://blog.kakaocdn.net/dn/zTZKa/btsC34XDTay/Jb2bQ9Pfb3avD43dhkbCNK/img.png)
목차
Ⅰ. 문헌고찰
1. 임신성 고혈압(pregnancy induced hypertension, PIH)
2. 당뇨병(임신성 당뇨병)
Ⅱ. 산부건강사정
Ⅲ. 분만과정 관찰 및 간호수행 기록
1. 산부입원
2. 분만 제1기
3. 분만 제2기
4. 분만 제3기
5. 분만 제4기
Ⅳ. 임상검사
Ⅴ. 사용약물
Ⅵ. 간호과정
Ⅶ. 참고문헌
본문내용일부
1. 진단 기준
(1) 경증 전자간증: 임신 20주 이상에서 고혈압과 단백뇨(>300 ㎎/24시간) 혹은 부종등이 관찰된다.
(2) 중증 전자간증: 급속도로 경증에서 중증으로 혹은 자간증으로 진행할 수 있다. 중증 전자간증의 진단은 다음과 같다.
중증전자간증진단
이완기 혈압≥110㎜Hg
단백뇨 ≥4g/24시간 혹은 Dipstick 2+ 이상
두통
시력장애
핍뇨(<500㎖/24시간)
경련(자간증)
혈청 크레아티닌 상승
고빌리루빈 혈증
혈소판 감소증
(3) 자간증: 간질과 같은 다른 원인없이 경련이 자가간증 환자에서 발생하면 자간증으로 진단할 수 있다.
2. 전자간증(Preeclampsia)
- 빈도: 임신 제 1삼분기에서 유산된 경우를 제외한 모든 임신의 약 5~7%에서 발생하고 10대의 초산부와 나이든 경산부에서 발생률이 높다.
-유병률과 사망률: 산모의 사망률은 드물지만 태반 조기 박리, 간 파욜, 자간증으로의 진행으로 모성사망이 발생하기도 한다. 태아사망은 주로 태반 부전이나 태반 조기 박리가 원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자궁내 태아 발육 부전의 발생도 증가한다.
-원인: 임신중독증의 원인은 많은 연구에도 불구하고 아직 밝혀지지 않고 있으며 면역적, 내분비적, 유전적인 원인이 거론되고 있고 사회적 지위나 식이 부족 등의 원인도 제안되고 있다.
- 감별진단: 전자간증의 진단 기준에 만족하면 감별진단은 만성고혈압, 동반된 전자간증, 신증후군, 사구체신염, 그리고 루프스 신염등이 있다.
- 진단:
(1) 증상과 징후: 대부분의 초기 자간전증 환자는 증상이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고혈압, 부종, 단백뇨는 확실한 증상보다 선행하여 나타난다. 따라서 임신말기에는 이러한 초기 임신 중독증의 진단을 위해서 잦은 산전진찰이 필요하다. 뇌혈류량의 감소로 두통과 의식 이상을 초래할수 있고 과다한 세포외액의 증가에 의해서 척골/정중 신경의 압박으로 관절 압박감과 이상 감각을 느낄수 있다.
(2) 이학적 검사: 대개 부종이 제일 먼저 나타나고 고혈압, 단백뇨 순서로 발현한다.
(3) 검사소견: -일반혈액검사-Hct의 증가(혈장량 감소의 지표)
참고문헌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 「여성건강간호학 1, 2권」, 수문사, 2020
약학 정보원, https://www.health.kr/main.asp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차영남, 장요순 외 3명 저, 현문사, 2013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이동숙 저, 포널스 출판사, 2016
서울대학교(1999), 산부인과학, 군자출판사 p309~320, 344~350
최연순 외(1999), 여성건강간호학, 수문사 p866~880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임신성고혈압,임신성당뇨(PIH,GDM)케이스스터디_제왕절개,고위험산모”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
'간호학 케이스스터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폐렴 케이스 스터디, 간호과정 (1) | 2024.01.04 |
---|---|
기저귀 발진 케이스 CASE STUDY (0) | 2024.01.03 |
아동간호학 아동폐렴 케이스스터디, 실습레포트 (1) | 2024.01.03 |
여성간호학 모성간호학 자궁근종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간호진단 3개, 간호과정 3개) (0) | 2024.01.02 |
케이스, 성인간호학, 진행성위암(Advanced Gastric Cancer), 간호진단 및 과정 3개 (0) | 2024.0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