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성인간호 케이스스터디 지주막하출혈 (간호진단 3개 , 간호과정 3개)”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nSA48/btsCZjWwv24/ptmNdLDCaO2K2AoJ19CqqK/img.png)
목차
1. 간호력
1) 일반적 사항
2) 주호소
3) 현병력(OLDCARTS)
4) 과거 병력
5) 가족력
6) 건강습관
7) 사회력
8) 질병에 대한 인식 및 심리적 상태
2. 질병의 기술
1) 정의
2) 병태생리
3) 임상소견, 진단검사
4) 치료 및 간호
3. 건강사정
1) V/S, GCS, BST, NRS, 신장, 체중, BMI 등
2) 계통별 건강사정
4. 입원 중의 처치
1) 투약 용량, 목적 및 효과, 부작용
2) 적용한 처치, 목적, 간호관리
5. 진단검사
1) 일반 생화학검사 날짜 별 결과 및 해석
2) 특수 검사 전/후 간호, 결과
6. 간호과정
1) 1번 간호진단, 사정 자료, 단/장기 목표, 계획, 수행, 이론적 근거, 평가 및 재계획
2) 2번 간호진단, 사정 자료, 단/장기 목표, 계획, 수행, 이론적 근거, 평가 및 재계획
3) 3번 간호진단, 사정 자료, 단/장기 목표, 계획, 수행, 이론적 근거, 평가 및 재계획
7. 출처
본문내용일부
2) 질병의 기술
<지주막하 출혈 SAH>
(1) 정의
지주막하 출혈은 뇌를 감싸고 있는 조직(수막)의 내막(연질막)과 중막(지주막) 사이의 공간(지주막하강)에서 발생한 출혈이다.
(2) 병태생리
가장 흔한 원인은 동맥류이며, 빠른 속도로 심각하고 영구적인 장애를 일으킨다. 일반적으로 두부 손상으로 인해 발생하나, 두부 외상으로 인한 지주막하 출혈은 뇌졸중과 다른 증상을 나타내고 뇌졸중과 다르게 진단되고 치료되며, 뇌졸중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자연적으로 발생한 지주막하 출혈의 경우에만 뇌졸중으로 간주되며, 흔한 원인은 뇌 내 동맥류의 갑작스러운 파열이다. 지주막하 출혈은 남성보다 여성에게 더 흔하게 발생하는 유일한 뇌졸중 유형이다.
(3) 임상소견, 진단검사
파열되지 않은 동맥류는 대개 어떤 증상도 유발하지 않으나, 신경 압박으로 인한 복시, 이전과 다른 양상의 두통이 나타나는 것과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도 있다. 동맥류 파열이 발생하면 갑작스럽고 심한 두통, 안면이나 눈의 통증, 복시, 시야 흐림, 뻣뻣한 목, 의식 상실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SAH는 CT, MRI, 혈관조영술을 통해 출혈을 발견하여 진단할 수 있다. 척추 천자는 CT가 불확실하거나 CT는 정상이지만 의사가 여전히 지주막하 출혈을 의심하는 경우 실시하는데, 뇌척수액에서 혈액을 검출할 수 있다. 다만 척추 천자를 실시하는 것이 위험할 정도로 두개골 내 압력이 증가한 것으로 의심될 경우 척추 천자를 실시하지 않습니다.
(4) 치료 및 간호
과로를 피하고 침상에서 안정을 취하도록 하며, 두통을 완화하기 위한 약물을 적용한다. 혈관 경련 및 허혈성 뇌졸중 예방을 위해 CCB인 니모디핀을 투여하는 경우가 많다. 출혈을 피하기 위해 낮은 수준으로 혈압을 유지하고, 뇌 손상 부위로의 혈액 흐름을 유지하기 위해 약물 투여 및 정맥 주사액 양을 조절하는 등의 조치를 취한다.
경우에 따라 뇌에서 체액을 배출하기 위해 플라스틱 관(션트)을 뇌에 연결할 수 있다.
참고문헌
MSD (2020. 7. 15.). 지주막하 출혈(SAH) [뇌졸중(CVA)].
https://www.msdmanuals.com/ko-kr/%ED%99%88/%EB%87%8C,-%EC%B2%99%EC%88%98,-%EC%8B%A0%EA%B2%BD-%EC%9E%A5%EC%95%A0/%EB%87%8C%EC%A1%B8%EC%A4%91-cva/%EC%A7%80%EC%A3%BC%EB%A7%89%ED%95%98-%EC%B6%9C%ED%98%88-sah
경북대학교병원 (2021. 11. 09.). CT검사 [검사정보].
https://knuh.kr/content/04information/06_05.asp?sh_d_buseo=&sh_d_body_self=&sh_d_disease=&p_keyword=&sh_name_sort1=%EC%A0%84%EC%B2%B4&sh_name_sort2=&sh_d_num=15
약학정보원 (2021. 11. 24.). 보트로파제주사(2mL) [의약품 상세정보].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GGGGA5839
약학정보원 (2021. 11. 24.). 블리스탑주 [의약품 상세정보].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HHHHH0120
약학정보원 (2021. 11. 24.). 스토가정10mg [의약품 상세정보].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PPPPP0584
약학정보원 (2021. 11. 24.). 케프라정500mg [의약품 상세정보].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OOOOO9775
약학정보원 (2021. 11. 24.). 이소켓서방정40mg [의약품 상세정보].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BBBBB1491
약학정보원 (2021. 11. 24.). 훼로바유서방정 [의약품 상세정보].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HHHHH0249
약학정보원 (2021. 11. 24.). 레가론캡슐140 [의약품 상세정보].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1310A0260
약학정보원 (2021. 11. 24.). 펜넬캡슐 [의약품 상세정보].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BBBBB2473
약학정보원 (2021. 11. 24.). 알닥톤필름코팅정25mg [의약품 상세정보].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OOOOO3515
약학정보원 (2021. 11. 24.). 노보래피드플렉스펜주100단위/mL [의약품 상세정보].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MMMMM0602
서울아산병원 (2021. 11. 24.). 란투스주솔로스타[300iu] [의약품정보].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ruginfo/drugInfoDetail.do?odcd=XP-LANT&searchKeyword=
약학정보원 (2021. 11. 24.). 보령토르세미드정5mg [의약품 상세정보].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OOOOO5348
약학정보원 (2021. 11. 24.). 파세타주 [의약품 상세정보].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
전은실, “이뇨제 사용의 원칙과 실제”, 대한내과학회지: 제 80권 제 1호, 2011.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성인간호 케이스스터디 지주막하출혈 (간호진단 3개 , 간호과정 3개)”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
'간호학 케이스스터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인간호학실습 - 당뇨, 당뇨발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진단 2개, 간호과정 2개 (0) | 2024.01.05 |
---|---|
모성 case study 조기양막파수 Brenda Patton 간호과정 1개 '양수 파막으로 인한 감염위험성' (0) | 2024.01.05 |
노인 Case study 영양과 관리 (0) | 2024.01.04 |
폐렴 케이스 스터디, 간호과정 (1) | 2024.01.04 |
기저귀 발진 케이스 CASE STUDY (0) | 2024.0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