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통일의 의미와 필요성 및 바람직한 통일 방안”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통일의 의미
2) 통일의 필요성
3) 바람직한 통일 방안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일부
1950년 6월 25일 전쟁이 시작됨에 따라 한민족끼리 총칼을 겨눈 지 어연 70년이 흘렀다. 지난 6월 25일 한국은 6.25 전쟁 70주년이자 이산가족 대면상봉 20주년을 맞이했다. 큰 의미를 가지고 있는 뜻 깊은 해지만 최근 남북관계의 경색에 따라 이산가족 상봉은 물론 화상상봉과 영상 편지 교환마저 이루어지지 못했다. 이에 따라 이산가족들의 그리운 가족을 만날 수 있으리라는 희망 또한 점차 사라지고 있다. 2020년 5월 말을 기준으로 이산가족 상봉을 신청한 이들은 모두 13만3천386명으로 집계되었다. 그러나 이 가운데 생존자는 38.5%(5만1천367명)에 그친다. 이산가족 상봉 신청자 중 올해 들어서만 벌써 1천300여명이 세상을 떠난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이산가족 상봉에 대한 대안은 제대로 마련되지 않은 상태이다. 또한 이산가족 상봉 행사가 열린다고 해도 최종 상봉 대상자에 선정되려면 수백 대 일의 경쟁률에서 살아남아야 한다. 이 것이 분단국가인 한국의 안타까운 현 실이다.
이처럼 우리는 오랜 기간 동안 통일된 민족국가를 확립하지 못한 채 분단의 고통을 겪으며 살아왔다. 이 같은 분단의 장기화는 이산가족 문제를 야기할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국력낭비, 자원의 분할 사용과 같이 다양한 측면에서의 폐해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이러한 폐해로 인해 우리 민족의 발전 및 번영 또한 저해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지속적인 분단 상황은 남북 간 이질화, 경제 격차 등을 심화시켜 대한민국의 민족 정체성을 훼손시키고 있다. 이와 더불어 우리 사회는 21세기에 접어들면서 무한경쟁시대에 도래했다. 이 같은 전 세계적인 추세에 따라 통일은 우리 민족의 생존 및 성장을 위한 시대적 과제로 자리 잡았다. 즉 통일은 우리의 새로운 성장 동력확보의 큰 매개체로 작용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통일은 우리 민족의 오랜 소망일 뿐 만 아니라 지속가능한 국가의 발전을 위한 현시대적 과업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보고서에서는 통일의 의미 및 필요성과 더불어 바람직한 통일방안에 대해 논해보고자 한다.
참고문헌
“통일문제 이해”, 통일부 통일 교육원, 2013
고성준, “통일 필요성의 재인식”, 통일부 통일 교육원
김응길, “[실무논술] 통일의 필요성과 노력”, 2018.01.02, 1p
양무진, “한반도포커스-양무진 현실적이고 바람직한 통일정책”, 국민일보, 2016.04.03. 1p
“통일을 준비하는 우리의 자세“. 성대신문 2019.03.12
“[독자투고] 남북한이 통일해야 하는 6가지 이유”, Daily NK, 2012.12.26. 1p
“이산가족 상봉: 이번에 꿈 못 이룬 가족들...공식 '상봉행사' 외 대안은 없나”, BBC NEWS, 2018.08.20, 1p
김길화, “통일은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 경남일보, 2016.01.06, 1p
정혜인, “[6·25전쟁 70주년] 출구 없는 남북 위기, 멀어지는 이산가족 상봉…신청자 38.5%만 생존”, 2020.06.25. 1p
대한민국 통일부, 통일의식에 대한 다층적 논의의 장, [2019년 통일의식조사], 2019.10.29
https://blog.naver.com/PostView.nhn?blogId=gounikorea&logNo=221692182465
[칼럼] 왜 통일을 해야 하는가?_ 황지연 민주평통 자문의원/ 통일 교육의원, 경실련, 2014.02.10.
http://ccej.or.kr/5029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통일의 의미와 필요성 및 바람직한 통일 방안”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
'사회분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식론적 신념과 학습환경 (0) | 2023.12.04 |
---|---|
보건교육 사례보고서 고혈압, 범이론모형 (0) | 2023.11.29 |
민법상 유언방식과 유언의 효력과 새로운 유언상속 이슈들에 대한 법제도적 대응 - 상속법 전면개정 필요성 (0) | 2023.11.22 |
청년 구직,직원중심 운영,유망 중소기업,대기업 채용,기업 복지 정책,기업 문화 (0) | 2023.11.21 |
아르메니아의 국가 개관 (0) | 2023.1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