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학 케이스스터디

성인간호학 자료 천식 CASE STUDY 간호진단 3개

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성인간호학 천식 CASE STUDY 간호진단 3개”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1. 문헌고찰
2. 사례보고서
3. 간호과정
4. 참고문헌

 

본문내용일부

I. 문헌고찰

1. 구조와 특성
- 폐 속의 기관지가 아주 예민해진 상태이다.
- 천식이란 폐로 연결되는 통로인 ‘기관지’의 질환으로, 특정한 유발 원인
물질에 노출되었을 때 기관지의 염증에 의해 심하게 좁아져서 기침,
천명(숨쉴 때 쌕쌕거리는 소리), 호흡곤란, 가슴 답답함이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질환이다.
- 기도의 만성적인 알레르기 염증 질환으로, 기관지가 반복적으로 좁아지는
기류폐쇄를 특징으로 하는 만성호흡기 질환이다.
- 천식은 COPD처럼 폐쇄성 호흡기계 질환에 속하지만 COPD와 달리 기도 수축은 가역적이긴 하지만 드물게 만성 천식 환자에게서
비가역적인 기도 폐쇄가 동반된다.
- 병인에 알레르기성 염증 반응이 관여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 모두의 영향을 받는다.

2. 병태생리
- 천식으로 인한 기도의 폐쇄에는 주로 비만 세포와 호산구가 관여한다.
만약, 기도에 집 먼지 진드기나 꽃가루와 같은 항원이 침투하게 되면 체내 면역계가 이를 감지하여 항체 IgE를 생성하게 되는데,
이 IgE는 기관지 상의 비만 세포의 수용체로 작용하게 되며, 이로써 추후 항원의 재침투시 비만 세포가 항원에 반응하여 히스타민과
같은 기도의 염증 반응을 일으키는 여러 물질을 분비하게 한다.
호산구는 비만 세포가 분비한 물질의 자극에 의해 활성화되어, 마찬가지로 기도의 염증 반응을 일으킨다.
이러한 염증 반응에 의해 기도 점막의 부종이 일어나면 기도가 폐쇄되는 천식의 전형적인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3. 원인
- 천식은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합쳐져서 생기는 대표적인 알레르기 질환으로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알레르기 체질과 천식유발
인자들이 상호 작용을 일으켜 면역체계에 혼란이 생기면서 천식이 발생하게 된다.
- 천식을 유발하는 요인으로는 원인 물질과 악화 요인이 있다.
원인 물질을 알레르겐이라고 하는데, 대표적인 알레르겐은 집 먼지 진드기, 꽃가루, 동물 털이나 비듬, 바퀴벌레, 식품, 약물 등이다.

 

참고문헌

국제간호진단협회 (2019). 간호진단 정의와 분류. 서울 : 정담미디어
김금순 외(2020). 성인간호학 II. 파주 : 수문사
김수경, 권지윤 외(2018). 알기쉬운 임상약리학. 서울 : 정담미디어
김재숙 (2014). 천식환자의 천식관련 지식정도와 교육요구도.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질병관리본부 : http://www.cdc.go.kr/CDC/main.jsp
KIMS 의약정보센터 : http://www.kimsonline.co.kr/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성인간호학 천식 CASE STUDY 간호진단 3개”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