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학 케이스스터디

Henry Williams 케이스스터디 part 1 COPD

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Henry Williams 케이스스터디 part 1 COPD”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1. COPD 문헌고찰
2. 간호과정-간호진단, 계획, 수행, 평가
3. 참고문헌

 

본문내용일부

1. 문헌고찰
1. 만성 폐쇄성폐질환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y, COPD)
만성 폐쇄성 폐질환이란 유해한 입자나 가스의 흡입에 의해 폐에 비정상적인 염증 반응이 일어나면서 이로 인해 점차 기류 제한이 진행되어 폐 기능이 저하되고 호흡곤란을 유발하게 되는 호흡기 질환이다. 폐기종, 만성 기관지염 등이 이에 속한다.

2. 만성 폐쇄성폐질환의 원인
여러 숙주 요인들과 환경 요인들의 복잡한 상호작용이 만성 폐쇄성 폐질환을 발생시킨다고 추정하고 있다. 숙주 요인으로는 유전자, 기도 과민반응 등이 관련되며 환경 요인으로는 흡연 외에도 직업성 분진과 화학물질, 실내 외 대기오염 등이 관련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 흡연
흡연은 COPD에서 가장 중요한 위험요인이다. 흡연의 유해한 영향은 흡입된 연기가 폐의 정상 단백분해효소를 과잉방출하기 때문에 일어난다. 이 효소는 폐포의 주요한 구성요소인 Elastin을 파괴한다. 또한 섬모작용을 방해하여 기관과 기관지의 점액, 세포의 조직파편 그리고 채액 등을 청소하는 섬모의 기능을 억제한다. 직접 흡연뿐 아니라 간접흡연도 상하부 호흡기도에 문제를 일으킨다. 작고 제한된 공간에서 흡연에 노출될 때 위험은 더 커진다.
2) 유전
a1-antitrypsin(AAT)결핍증은 폐기종을 유발하는 유전성 위험인자이다, 특별한 효소인 AAT는 간에서 만들어지고, 정상적으로 폐에 존재한다. AAT의 작용은 흡인된 오염물질과 단백분해효소가 폐포조직을 파괴하는 것을 억제한다. AAT가 결핍되면 담배연기나 다른 자극에 노출되지 않아도 아주 젊은 나이에 COPD에 이환된다.
3) 대기오염
대기오염만으로는 폐기종과 만성기관지염 대상자에 미치는 영향이 적지만 흡연할 경우 그 결과가 증폭된다.
4) 감염
감염은 COPD를 발생시키는 위험인자이다. 아동기에 심한 호흡기 감염이 반복적으로 있었다면 성인이 되어 폐기능이 감소되고 호흡기 증상이 나타난다. 감염이 재발함에 따라 정상적인 방어기전이 저하되어 기관지와 폐포가 점점 더 손상된다, COPD 대상자의 질병을 급성으로 악화시키며 50~70%에서 세균이 원인이다.

 

참고문헌

성인간호학1, 수문사
성인간호학2, 수문사
성인간호학 상권, 현문사, 2014.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Henry Williams 케이스스터디 part 1 COPD”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