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노인간호학 만성신부전(chronic kidney disease) case study(간호과정 3개)”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https://blog.kakaocdn.net/dn/epgW7L/btszrJWVIOh/zqMoNIAJeqiv8OkSyQUG6K/img.png)
목차
1. 서론
1) 문헌고찰: 정의, 원인, 병태생리, 증상, 진단검사, 치료, 경과/합병증, 간호
2. 간호사정
1) 간호력
2) 임상검사
3) 진단검사
4) 약물
5) 재활간호
6) 의사소통: 의사오더
7) 간호진단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일부
1. 문헌고찰
1) 정의
만성 콩팥기능상실(만성신부전, Chronic renal failure, Chronic kidney disease)은 3개월 이상 신장기능이 심각하게 저하되어 치료로 회복되지 않는 비가역적인 상태를 말한다. 신장기능의 15% 정도로 감소된 경우 말기 신장기능상실(end-stage renal disease, ESRD)이라 한다.
2) 원인 및 위험요인
• 사구체 기능 장애: 사구체신염, 당뇨병성 신장병, 고혈압성 신경화증
• 요로계 폐색: 전립샘, 방광종양, 림프절 질환, 요관 폐색, 결석
• 전신 질환: 겸상적혈구 빈혈, 피부경화증, 결절 다발 동맥염, 전신 홍반 루푸스, HIV 관련 콩팥병, 혈관염
• 기타: 만성 신우신염, 신장 증후군, 다낭포 신장, 신장 괴사, 신장 독성 물질, 다발골수종
→ 말기 신장기능상실의 가장 흔한 원인은 당뇨병이고 그다음으로 고혈압, 사구체신염 등이다.
3) 병태생리
만성 신장기능상실은 신장단위(nephron)가 파괴되어 기능이 소실됨으로써 사구체 여과율(Glomerular Filtration Rate, GFR)과 크레아티닌 청소율(Creatinine clearance, CCR)이 감소하여 혈액 내 요소질소와 크레아티닌이 상승한다. 신장단위는 비대해지고 요 농축 능력이 감소하여 다량의 희석된 요를 배출시키므로 체액이 부족해진다. 요세관의 전해질 재흡수능력이 점차 상실되면 요에 다량의 염분이 섞여 배설되면서 다뇨가 악화된다. 이후 신장 손상이 더욱 악화되고 기능하는 nephron의 수가 감소하면 사구체 여과율은 더욱 감소하고 수분, 염분, 노폐물을 제거할 수 없게 되어 전신적 영향을 미치게 된다.
4) 증상
신질환 환자가 신장기능상실의 증상과 징후들을 병적 이상 증상으로 인지하게 되는 시점은 신장기능의 80~90% 정도가 상실되었을 때이다. 이후 적절한 치료를 받지 않아 신장기능이 완전히 상실되면 신대체 요법으로 투석이나 이식을 해야 하므로 증상을 잘 인지하여 적절히 대응해야 한다.
참고문헌
윤은자 외. (2019). 성인간호학 Ⅰ. 수문사
서울아산병원, 검사/시술/수술정보, 혈액투석(Hemodialysis)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management/managementDetail.do?managementId=513
서울아산병원, 질병정보, 복막투석(Peritoneal dialysis)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management/managementDetail.do?managementId=511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신장 이식 클리닉. http://guro.kumc.or.kr/department/treatDeptDesc01.do?DP_CODE=GR338
약학정보원 www.health.kr
Druginfo https://www.druginfo.co.kr/
성미혜 외. (2019). 근거기반간호 간호과정. 수문사
Meg Gulanick, Judith L. Myers. (2016).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
김상숙, 최영실. (2020). 반복 혈액투석 식이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노인 환자를 중심으로. 성인간호학회지, 32(5).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노인간호학 만성신부전(chronic kidney disease) case study(간호과정 3개)”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
'간호학 케이스스터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혈관파트 부정맥, 심근병증 케이스 스터디 (간호진단 5개, 심근병증 문헌고찰 포함) (0) | 2023.11.03 |
---|---|
뇌경색 케이스 스터디입니다. 진단7개 과정2개 (0) | 2023.10.30 |
정신간호학 case 사례연구 조현병 간호과정3개 간호진단1개 (0) | 2023.10.30 |
[성인간호학] '식도암' 환자 사례 연구 CASE STUDY (0) | 2023.10.30 |
성인간호학 담낭암 gallbladder 문헌고찰, 간호진단, 간호과정 case study (0) | 2023.10.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