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학 케이스스터디

[성인간호학] '식도암' 환자 사례 연구 CASE STUDY

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성인간호학] '식도암' 환자 사례 연구 CASE STUDY”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Ⅰ. 식도암 환자사례에서 중요한 정보와 의학적, 간호학적 문제를 찾아봅시다.
Ⅱ. OO님의 상태와 관련하여 원인과 앞으로의 경과를 예측해 봅시다.
Ⅲ. 1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당신이 해야 할 일을 찾고 일의 우선순위를 토의해 봅시다.
Ⅳ. 당신이 위 상황에 적절히 대처하기 위하여 알아야 할 지식, 기술, 태도가 있다면 무엇입니까?

참고문헌

 

본문내용일부

1) 대상자의 영양상태에 관한 자료를 수집
➀ 매일 체중을 측정하고, 섭취량, 배설량, 칼로리를 기록하며 대상자의 영양상태를 확인한다.
➁ 대상자에게 초기에는 섭취하기 쉬운 형태의 식이로 바꾸도록 설명한다.
➂ 구강 내 보습을 향상시키기 위해 무가당 껌이나 사탕을 먹도록 하고, 찬물로 자주 입안을 헹구게 한다.
➃ 암이 진전됨에 따라 위루술이나 공장루술로 영양을 공급한다.
(위산이 새오나오면서 튜브 주위의 피부가 손상되므로 튜브 주위의 피부도 사정한다.)
➄ 하루에 2번 이상 개구부 주위 피부를 부드러운 비누로 씻고 말려주며, 예방적으로 Zincoxide 혹은 Karaya gum과 같은 연고를 피부에 발라주어야 한다.

2) 연하곤란, 종양으로 인한 식도폐쇄와 관련된 영양장애
➀ 환자들은 지속적이고 점진적인 연하곤란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아 초기에는 고형식을 삼키기 어렵지만, 차츰 연식이나 물도 삼키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연하곤란을 주의 깊게 사정해야 한다.
➁ 연하통, 역류, 만성기침, 증가된 분비물, 쉰 목소리(인두 침범)와 같은 증상도 관찰한다.
➂ 구강의 병변과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구강간호를 자주 시행한다.

<중 략>

검사종류 : 내시경 생검 (Esophagoscopy with biopsy)

목적 :
직접 OO님의 식도 점막을 관찰하여
식도암이 의심될 경우 조직검사를 통해
식도암을 확진한다.

OO님의 검사결과 :
내시경 검사로 식도암이 의심되어
조직검사를 의뢰한 결과,
OO님은 식도암 확진 판정을 받았다.

***BONUS
➀ 식도내강이 심하게 협착되어 식도 내부가 매우 좁아졌을 때에는 내시경이 종양 부위에 도달하지 못하므로, 이 경우에는 솔을 이용한 세포진 검사가 유용할 수 있다.
➁ 기관지 내시경
- 기관지 내시경은 숨을 쉬는 기관지내부를 검사하는 것으로 식도 내시경과 다르지만, 식도암 환자의 경우 후두나 기관 또는 기관지에 암이 동반될 가능성이 있어 수술 전 반드시 기관지내시경 검사를 시행하여 침범여부를 확인하면 좋다.

 

참고문헌

이영휘 외, 성인간호학 Ⅰ, 학지사메디컬, 2020
양선희 외, 기본간호학 Ⅰ, 현문사, 2020
서울아산병원, http://www.amc.seoul.kr/asan/main.do
질병관리본부, http://www.cdc.go.kr/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성인간호학] '식도암' 환자 사례 연구 CASE STUDY”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