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무역

경제학원론-코로나로 인한 명품 소비 증가 현상

안녕하세요!! 행복한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경제학원론-코로나로 인한 명품 소비 증가 현상”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1. 서론 1

2. 이론적 배경 2
(1) 수요의 탄력성 2
(2) 명품 소비 특성 3

3. 코로나로 인한 명품 오픈런 현상 4
(1) 현황 분석 4
(2) 원인 5

4. 경제학적 분석 7
(1) 수요 곡선 7
(2) 수요의 탄력성 8

5. 결론 9
(1) 시사점 9
(2) 향후 연구 방향 10

6. 참고문헌 11

 

본문내용일부

코로나19의 발병으로 인해 사람들은 비자발적, 자발적으로 사회적 거리두기에 참여해야 했다. 자신의 집 앞도 함부로 나가기 어려운 상황에서 해외여행은 요원해 졌다. 한국 소비자들은 코로나19고 터지기 전에 빈번하게 해외여행을 해왔다.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의 조사에 따르면 코로나19가 터지기 전 2019년 기준 한국의 15세 이상 국민 중 해외 여행 경험률은 꾸준히 20% 이상을 유지해 왔다. 한국인들의 생활 수준이 높아지면서 해외여행을 통한 소비를 쉽게 경험할 수 있었으나 이제는 그 마저 쉽지 않아졌다 . 한국 소비자들 뿐만 아니라 해외 소비자들은 코로나19가 잠시 잠잠해지고 사회적 거리두기가 일부 완화되자 보복 소비를 하기 시작했다. 해외 여행이나 다른 소비를 하지 못해서 쌓인 자산과 각국 정부가 유동성 공급 정책을 취하면서 시장에 현금이 많이 풀린 덕이었다. 소비자들은 그 동안 구매를 꺼려하거나 엄두를 내지 못했던 명품을 구매하면서 보복 소비 행태를 보였다.
코로나19 기간 동안 명품들의 가격은 내리지 않았고 오히려 가격이 상승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요 명품 업체들과 이를 판매하는 백화점의 매출은 수직상승했다. 한국 산업통상자원부의 통계에 따르면 백화점은 2020년 상반기 대비해서 2021년 상반기에 매출이 26.2% 상승했다. 주로 값비싼 명품 매출이 백화점 전체 매출을 견인했다 . 대표적인 명품 브랜드인 샤넬은 2021년에만 4차례 가격을 인상했다. 가장 유명한 제품인 클래식백 스몰 사이즈는 893면원에서 1052만원으로 무려 17.8% 가격이 인상되었다. 인상될 때마다 약 10% 이상의 높은 인상폭을 올리고 있다 .
명품 가격이 계속 인상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 소비자들은 이른바 오픈런을 마다하지 않고 있다. 오픈런이란 매장이 오픈하기 전부터 줄을 서는 현상을 의미한다. 가격이 올랐음에도 불구하고 인기 있는 제품은 매장에서 구매를 하기 힘든 상황이다. 자신이 원하는 제품을 구매하기 위해서 소비자들은 오픈런을 하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수요와 공급 법칙에 따르면 가격이 인상되면 수요가 감소하게 된다. 하지만 명품의 경우 이 법칙이 통하지 않는 것을 볼 수 있다.

 

참고문헌

한국일보, 코로나 잦아들면 '보복 여행' 터진다...국민 76%가 "국내 여행 더 늘듯", https://m.hankookilbo.com/News/Read/A2021100415400002678
중앙일보, 화끈한 '코로나 보복소비'···백화점 명품 매출 올 45% 늘었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4115075#home
매일경제, "살 사람은 다 산다"…루이비통 5번 샤넬 4번 가격 기습인상 이유는, https://www.mk.co.kr/news/business/view/2021/11/1070653/
왕은희(2022). 명품 브랜드 아이덴티티 구성의 기호학적 연구 : 샤넬과 구찌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세환(2019). 비합리적소비성향이 외식소비성향에 미치는 영향 : 베블런효과와 밴드웨건효과를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코노미 조선, ‘아시아·디지털·MZ·리세일’ 명품 시장 판 흔든다, http://economychosun.com/client/news/view.php?boardName=C00&t_num=13611366.
서울특별시, 서울시민 4명 중 1명이 했다는 보복소비가 머니? Money?, https://www.si.re.kr/node/64611.

위와 같이 깔끔하게 정리가 되었나요?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경제학원론-코로나로 인한 명품 소비 증가 현상”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