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정신간호실습 양극성 장애 bipolar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https://blog.kakaocdn.net/dn/uadEh/btsx3MVdHZz/CBX3srNlHVxYqzbKftkGi0/img.png)
목차
Ⅰ. 서론
1. 간호과정 적용의 목적
2. 문헌고찰
1) 정의
2) 원인
3) 증상
4) 치료
Ⅱ. 본론
1. 자료수집
1) 일반적 배경
2) 건강력
3) 신체검진
4) 발달력
5) 가족력
6) MSE
7) 심리학적 자원 사정
8) 약물치료 상태
9) 기타 요법에 대한 계획
10) 임상병리검사
11) 임상심리검사
2. 간호과정
1) 간호진단 목록
2) 간호과정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일부
1. 간호과정 적용의 목적
- 양극성 장애에 대한 간호과정 적용의 목적을 서술할 수 있다.
- 양극성 장애에 대한 문헌고찰을 할 수 있다.
- 양극성 장애를 가진 대상자에게 MSE를 적용하여 자료를 수집할 수 있다.
- 양극성 장애를 가진 대상자에게 사용하는 약물에 대해 알 수 있다.
- 양극성 장애를 가진 대상자에 대한 간호진단 3가지를 내리고 우선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
- 양극성 장애를 가진 대상자의 간호진단 3가지 중 1가지의 간호과정을 서술할 수 있다.
- 양극성 장애를 가진 대상자에 대한 결론을 서술할 수 있다.
2. 문헌고찰 (A4 1/2쪽 이내로)
1) 정의
양극성 장애(bipolar disorder)는 기분, 기력, 활동에서 극단적인 변화가 일어나는 뇌 질환이다. 양극성 장애로 진단받은 대상자들은 일반적으로 기분 삽화라고 하는 특정한 기간 동안 발생하는 극심한 감정상태를 경험하게 된다. 양극성장애는 제1형 양극성장애, 제2형 양극성장애, 순화성장애, 물질/약물 치료로 유발된 양극성 및 관련 장애, 일반적인 의학적 상태에 의한 양극성 및 관련장애가 있다.
2) 원인
생물학적 이론은 유전학적으로 쌍생아, 가족, 양자 연구로부터 기인된다고 본다. 생화학적 영양으로 노르에피네프린과 도파민의 기능적 결핍이 우울증의 증상과 관련 있으며, 기능적 과다는 조증과 관련이 있다 보았다. 또한 생리적 영향으로 신경해부학적 측면으로 양전자 단층 촬영 결과 우울증에서 좌측 전측 뇌 기능이 감소하고 조울증에서 우측의 활성이 더 크게 감소하는 양상을 보인다고 설명한다. 그리고 약물 중 암페타민, 항우울제 및 고용량의 항경련제와 마취제 또한 조증 삽화를 유발할 수 있다고 본다.
3) 증상
조증 상태의 증상은 경조증, 급성 조증 그리고 섬망성 조증 이렇게 3단계로 설명할 수 있다. 경조증은 사회적 또는 직업적 기능 손상이 입원이 필요할 만큼 심각하지 않은 상태이고 급성조증은 경조증 증상이 더 심해진 상태이며 마지막 섬망성 조증은 급성 조증과 관련된 증상의 심화와 의식의 혼탁을 특징인 상태이다.
참고문헌
Mary C. Townsend 외 1인. 제 9판 정신건강간호학. 학지사메디컬. p595-617
김정훈(2001), 안정기 양극성 기분장애 환자의 일부 인지기능 평가,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저자미상(연도미상), “망상 장애(Delusional disorder)”, 서울아산병원. http://amc.seoul.kr/asan/mobile/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898&diseaseKindId=C000006
저자미상(연도미상), “갑상선 기능 검사(Tyroid Function Test)”, 서울아산병원, http://m.amc.seoul.kr/asan/mobile/healthinfo/management/managementDetail.do?managementId=26
저자미상(연도미상), “리튬 치료적 약물농도 감시(Lithium therapeutic drug monitoring)”, 서울아산병원, http://m.amc.seoul.kr/asan/mobile/healthinfo/management/managementDetail.do?managementId=95
저자미상(2017), “리튬(Li)”, 대한진단검사의학회, https://labtestsonline.kr/tests/lithium
저자미상(연도미상), “뇌 MRI”, 서울아산병원, https://health.amc.seoul.kr/health/personal/checkInformation.do?checkno=38
Ana Claudia Rodrigues de Cerqueira, Antônio Egídio Nardi, Fabiana Souza-Lima, 호세 마우리시오 고도이-바레이 로스(2010), Transtono bipolar e sesclerose mulipla: comorbidade e fators de risco
Bras. Psiquiatr. vol.32 no.4 상파울루, https://www.scielo.br/scielo.php?script=sci_arttext&pid=S1516-44462010000400021
저자미상(연도미상). “MMPI(다면적 인성검사)”. 연우심리개발원. http://www.iyonwoo.com/unitest/info_psy.php?code=2
저자미상(연도미상). “Rorschach(로샤)”. 연우심리개발원. http://www.iyonwoo.com/unitest/info_psy2.php?code=1
저자미상(연도미상). “TAT(주제동각검사)”. 연우심리개발원. http://www.iyonwoo.com/unitest/info_psy2.php?code=2
저자미상(연도미상). “SCT(문장완성검사) ”. 연우심리개발원. http://www.iyonwoo.com/unitest/info_psy2.php?code=5
저자미상(연도미상). “BGT(벤더-게슈탈트 검사)”. 연우심리개발원. http://www.iyonwoo.com/unitest/info_psy2.php?code=6
저자미상(연도미상). “웩슬러 지능검사” 연우심리개발원. ”http://www.iyonwoo.com/unitest/info_psy5.1php?code=1
저자미상(연도미상), “자이프렉사정10mg”,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BBBBB0939
저자미상(연도미상), “명인탄산리튬정 300mg”,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0920A0030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정신간호실습 양극성 장애 bipolar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
'간호학 케이스스터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인간호학 실습CASE 담석증(GB stone) 간호진단3개 간호과정3개 케이스 (0) | 2023.10.12 |
---|---|
아동간호학실습 폐렴 CASESTUDY (간호진단 5개, 간호과정 2개) (0) | 2023.10.12 |
사구체신염 case study, 케이스 스터디 성인간호학 간호과정2개 (낙상위험성, 체액과다) (0) | 2023.10.11 |
요로감염CASE STUDY (0) | 2023.10.11 |
브이심 시나리오4 vsim Medical Case 4 Carl Shapiro 케이스스터디, 급성심근경색증 사례연구 (0) | 2023.1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