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학 케이스스터디

사구체신염 case study, 케이스 스터디 성인간호학 간호과정2개 (낙상위험성, 체액과다)

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사구체신염 case study, 케이스 스터디 성인간호학 간호과정2개 (낙상위험성, 체액과다)”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1. 질병기술

2. 간호과정
1) 대상자 사정
2) 투약
3) 검사
4) 간호과정
(1) 우선순위
(2) 간호과정
#1. 낙상위험성
#2. 체액과다

참고문헌

 

본문내용일부

1. 질병에 대한 기술 : 사구체신염[Glomerulonephritis]
병태생리
급성 사구체 신염은 보통 신체의 다른 곳에서 발생된 감염에 의해 형성된 항원항체 면역복합체들이 순환 도중 사구체에 염증성 손상과 함께 기능을 방해해 사구체막의 투과력을 감소시키게 된다. 항원은 외인성(그룹 A 베타 용혈성 연쇄구균) 또는 내인성이다. 만성 사구체 신염의 원인은 다양하다. 모든 형태의 사구체신염이 만성으로 진행할 수 있으며, 처음부터 만성 사구체신염으로 시작하기도 한다.

임상증상
단백질과 적혈구가 여과액으로 빠져나와 소변은 검고 탁해진다.
전신 부종이 나타나고, 레닌분비 증가와 사구체여과율 감소로 인해 혈압이 상승하고 핍뇨가 나타난다.
신장조직에서 종창이 일어나고 신장피막이 신장되며 옆구리와 등의 통증이 발생한다.
혈뇨, 단백뇨가 나타나고 열, 오한, 쇠약감, 창백, 식욕부진이 나타날 수 있으며, 후기에는 울혈성 심부전, 복수 등이 나타난다.
권태, 피로, 두통, 식욕부진, 오심과 같은 염증의 일반적 증상이 나타난다.

치료 신장손상이 더 이상 진행되지 않도록 예방하고 염증을 완화하거나 억제해 신장기능을 향상시키고, 면역의 변화에 대한 조화와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다. 혈장분리반출법은 혈장을 다른 사람의 것과 교환하는 것으로, 환자의 혈장 속 항체를 제거할 때 많이 이용한다. 이것은 사구체신염에서 면역억제요법과 함께 사용되며 특정 항체나 염증반응의 매개체를 제거한다. 많은 양의 혈장을 주기적으로 제거하고 신성냉동혈장으로 대체한다. 수분과잉과 고혈압에는 이뇨제와 고혈압약을 투여하고 식이에서 염분과 수분을 제한한다.

<중 략>

(2) 간호과정
간호진단 #1
환경적 위험의 인식 부족과 관련된 낙상위험성

주관적 자료
“내가 왜 넘어져. 침대 난간 올리면 답답해서 싫어.”
“아래쪽이 너무 많이 부어서 앉아서 밥을 못먹겠어”
“괜찮아 지탱 안해줘도 된다. 혼자 잘 할수 있어.”
객관적 자료
∨foley 16Fr
∨pitting edema 양하지, 양발, scrotum(+++), left arm(++)
∨74세 고령 환자

 

참고문헌

최명애 외, 병태생리학, 계축문화사, 2019
윤은자 외, 성인간호학2, 수문사, 2019
난다 간호진단, 학지사메디컬, 2018
이동숙 외, 기본간호학2, 메디컬사이언스 2018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사구체신염 case study, 케이스 스터디 성인간호학 간호과정2개 (낙상위험성, 체액과다)”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