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학 케이스스터디

브이심 시나리오4 vsim Medical Case 4 Carl Shapiro 케이스스터디, 급성심근경색증 사례연구

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브이심 시나리오4 vsim Medical Case 4 Carl Shapiro 케이스스터디, 급성심근경색증 사례연구”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Ⅰ. 서론

Ⅱ. 급성 심근경색증 (Acute Myocardial Infarction) 문헌고찰
1) 정의
2) 원인
3) 병태생리
4) 증상과 징후
5) 진단적 검사
6) 치료
7) 간호중재
8) 합병증

Ⅱ. 간호사정
(1) 개인력
(2) 건강력
(3) 간호력
(4) 신체사정
(5) 진단을 위한 검사
(6) 치료 및 경과

Ⅲ. 간호과정 적용
1) 간호진단 목록
2) 간호과정

참고문헌

 

본문내용일부

Ⅰ 서론
심근경색증은 발생하고 나서 병원에 도착하기 전에 50%가 사망하며, 치료를 받더라도 사망률이 5~10%에 이르는 무서운 질환이다. 이러한 심근경색증에 대해 정확히 이해하고 알아보기 위해 사례연구를 하고자 한다.
연구할 급성 심근경색증 사례에 대해 소개하자면 Carl Shapiro는 여행을 자주 다니는 54세 남성이다. 그는 흉통, 발한, 숨가쁨을 호소하여 12시 30분에 응급실에 왔다. 그는 응급실에서 아스피린과 2회 용량의 설하 글리세릴 트리니트레이트로 치료를 받았다. 글리세릴 트리니트레이트 투여로 흉통이 개선되었다. 일반 식염수의 IV 주입은 응급실에서 시작되었으며 시간당 5mL로 진행되고 있다. 주문된 병리학 결과가 보류 중이다. 의료 담당관은 결과가 나오는 즉시 전화하기를 원한다. 12-리드 ECG는 심근 경색과 일치하는 전방 ST 상승을 보여준다. 환자는 97%의 SpO2 값으로 4L/min의 속도로 산소를 공급받고 있다. 흉통은 두 번째 glyceryl trinitrate 용량과 0.4mg의 glyceryl trinitrate 패치 후 10점 만점에 0점으로 마지막으로 평가되었다. 그는 심혈관 중환자실(CCU)에 입원했다.

Ⅱ 급성 심근경색증 (Acute Myocardial Infarction) 문헌고찰
1) 정의
급성 심근경색증은 관상동맥이 피떡이라고 불리는 혈전에 의해서 갑작스럽게 막혀 관상동맥을 통해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받던 심장 근육이 손상을 입는 상태를 말한다. 즉각적인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치명적인 결과가 나타나는데, 보통 병원에 도착하기 전에 50%가 사망하며, 치료를 받더라도 사망률이 5~10%에 이른다.

2) 원인
급성 심근경색증은 동맥경화증이 주된 원인이다.
관상동맥의 동맥경화 부위가 혈관 내로 파열되면 혈전(응고된 피 덩어리)이 생기고, 혈전이 관상동맥을 완전히 막아서 혈액이 통하지 않게 된다.
<위험요인>
- 고령
- 가족력과 유전적 소인: 심장동맥벽의 선천적 결함, 고콜레스테롤혈증의 가족력
- 흡연
- 성별: 남성이 여성보다 발병률이 2~3배 더 높다.
- 고혈압
- 당뇨병
- 고지혈증
- 비만
- 운동부족
- 기타 요인 : 스트레스, 알코올 소비, 고지방식이 등

 

참고문헌

황옥남 외 8명 저(2019). 성인간호학 상권 (7판). 현문사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브이심 시나리오4 vsim Medical Case 4 Carl Shapiro 케이스스터디, 급성심근경색증 사례연구”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