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자연체계이론”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Jm7a5/btsxsooXA6K/PEOfATG6y2n53sh67S6E10/img.png)
목차
1. 주교재
2. 추가문헌
3. 임상사례
본문내용일부
주교재
자연체계이론 혹은 가족체계이론 혹은 Bowen 이론 (다세대 가족치료) ; Murray Bowen이 서술하고 그의 수많은 추종자들이 지지, 정신역동이론과 가족치료의 또 다른 형태의 연결
Bowen에 의하면 대부분의 가족치료자들이 기법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요점을 놓쳤다고 할만큼 이론을 매우 중시. 이론 및 이론과 일치하는 치료행위는 치료자가 감정에 치우치지 않도록 한다는 점 중요. 정서적 분리(이성과 감정과정의 분리형태)는 치료의 기본 목표, 기능적인 가족의 중요한 일면
■ 기본 개념 / 이론적 구념 (※8가지 주요 개념)
※핵가족 정서체계(과정)(nuclear family emotional system (process)) ; 가족은 정서적 체계. 한 가구에 살고 있는 사람을 모두 포함하는 핵가족, 생사와 상관없이 어디에 사는지와 상관없는 확대가족으로 구성. 가족은 보편적이며 세대를 초월. 과거 세대 가족도 치료과정에 포함
※자아분화(differentiation of self)(self-differentiation) ; 자아분화 과정 (①타인으로부터 자기의 분리 ②지적 과정으로부터 감정적 과정의 분리)
⦁미분화된 가족 자아집합체(undifferentiated family ego mass) 또는 융합(fusion)
분화된 사람/융합된 사람. 분화된 사람 또는 자신의 감정뿐 아니라 가족체계의 감정을 초월할 수 있는 사람 선호. 감정적으로 얽혀있는 상태로부터 자신을 분리. 융통성, 적응력, 자족적. 자신의 감정 있는 그대로 느낌, 어느 정도 객관성과 감정적 거리 유지. 자기 주변의 감정적 역동성을 의식적(이성적)으로 깨닫고 상호작용을 초월. 미분화된 사람은 경직된 사고, 자신의 행복을 위해 다른 사람에게 더 많이 의존하는 경향
⦁진짜 자아(solid-self)/가짜 자아(pseudo-self) (지적인 것>감정적인 것) ; 진짜 자아를 가진 사람은 분명하게 정의된 신념과 견해 그리고 확신과 이성적 추론과 대안을 고려하여 발전시킨 생활 원칙을 기초로 생활. 가짜 자아를 가진 사람은 감정적 압박을 기초로 선택, 정서적 융합 개념과 일치
가짜 자아를 지닌 채 원가족을 떠난 사람 또는 원가족과 융합된 사람은 자신과 또다시 융합할 수 있는 사람과 결혼하는 경향. 이전 세대의 비생산적인 가족과정이 이 결혼을 통하여 다음 세대로 전수
참고문헌
이영분 외 5인, 가족치료 : 모델과 사례, 학지사, 2008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자연체계이론”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
'사회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복지문제를 소재로 한 영화를 관람한 후 영화 속 사회복지 문제를 구체적으로 정의하고 해결방안을 제시하시오. (0) | 2023.10.20 |
---|---|
사회복지정책론-사회복지정책의 과정에 관하여 설명하시오 (0) | 2023.10.13 |
가족의 개념과 기능을 요약하시고 당신이 생각하는 가족대해서 서술해 보시오 (0) | 2023.09.27 |
[사회복지의 모형] 윌렌스키, 르보, 티트머스, 파커, 조지와 윌딩의 복지모형 (0) | 2023.09.20 |
사회복지실천 현장 중 관심 있는 분야를 선택하여, 제주지역 내에서 해당분야의 실천 현장을 인터넷 또는 직접 방문하여 방문 보고서를 작성하시오. (0) | 2023.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