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복지

사회복지문제를 소재로 한 영화를 관람한 후 영화 속 사회복지 문제를 구체적으로 정의하고 해결방안을 제시하시오.

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사회복지문제를 소재로 한 영화를 관람한 후 영화 속 사회복지 문제를 구체적으로 정의하고 해결방안을 제시하시오.”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아동학대’를 소재로 한 영화 <어린 의뢰인>
1) 영화 <어린 의뢰인>
2) 영화의 모티브가 된‘칠곡계모사건’
3) 영화보다 더 영화 같은 아동학대의 현실
2. <영화 통해 본 아동학대의 문제점>
(1) 자녀를 부모의 소유물로 보는 인식
(2) 어른들의 무관심과 사회안전망의 부재
(3) 아동보호 시스템의 문제점
3. < 아동학대 문제점 해결방안 >
1) 아동학대 예방을 위한 부모교육 실시
2) 아동학대 행위자 처벌 및 신고의무자 교육 강화
3) 즉각 분리제도 대응 인프라 확충
4) 아동학대 대응인력 전문성 강화를 위한 지원
5​) 피해 아동 사후치료 및 학대 행위자 관리 강화

Ⅲ. 결론

Ⅳ. 참고 문헌

 

본문내용일부

Ⅰ. 서론

올해 우리는 한 아이의 죽음 앞에 함께 분노하고, 슬퍼하고, 울었다.
바로 생후 16개월 만에 양부모의 아동학대로 짧은 생을 마감한 정인이다.
아동 학대 사망 사건, 일명 ‘정인이 사건’은 사회적으로 커다란 공분을 샀다.
국민들은 해당 사건에 분노하며 강력 처벌과 재발 방지를 요구하며 목소리를 높였고,
청와대 국민청원까지 등장했다. 이를 계기로 아동학대에 대한 관심이 사회적으로
집중되었고, 아동학대 근절을 위한 움직임과 또 다른 피해를 막고자 하는 관심이 일어났다.
하지만 이를 비웃기라도 하듯 1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우리는 부모나 양육자에 의한
아동학대 사건을 연일 뉴스를 통해 만난다. 생후 한 달도 안 된 아이를 학대해 숨지게 한
20대 친부, 세 살배기 의붓아들이 말을 안 듣는다는 이유로 때려 숨지게 한 계모 등
아동학대 소식은 끊임없이 들려온다. 아동학대는 왜 좀처럼 사라지지 않는 걸까?
아동학대에 대한 문제의식을 던지는 영화 ‘어린 의뢰인’이라는 영화를 통해,
아동학대의 문제점과 그에 따른 해결방안을 짚어보고자 한다.

Ⅱ. 본론

1. < 아동학대를 소재로 한 영화 ‘어린 의뢰인’>

1) 영화‘어린 의뢰인’

2019년 5월에 개봉한 <어린 의뢰인> 은 10살 소녀가 동생을 죽였다고 자백해 경찰에
연행되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그린 작품이다.
인생 최대 목표는 오직 성공뿐인 변호사 정엽은 본의 아니게 아동복지관에서 일하게 된다. 그리고 그곳에서 다빈, 민준 남매를 만나게 된다. 가정폭력에 시달리던 남매는 정엽에게
의지하지만 오랫동안 기다렸던 대형 로펌에 합격한 정엽은 어린 남매를 잊어버린다.
그사이 동생 민준이 사망하고, 다빈은 자신이 동생을 죽였다고 경찰에 자백한다.
이 소식을 들은 정엽은 죄책감에 시달리며 자신의 미래를 포기하고 아이들을 학대한 계모를
찾아가 숨겨진 진실을 밝혀내기 시작한다.
<어린 의뢰인> 은 2013년 경북 칠곡군에서 발생한‘칠곡 아동 학대 사건’을 모티브로 한
영화이다.

 

참고문헌

아동학대의 이해/ 크는나무아동상담소 저,2010
굿바이 아동학대/ 맹경숙 저,2020
<아동학대 연차보고서(보건복지부,2020) >
<최근 5년간 아동학대범죄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위반 처리현황(대법원,2020>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사회복지문제를 소재로 한 영화를 관람한 후 영화 속 사회복지 문제를 구체적으로 정의하고 해결방안을 제시하시오.”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