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학 케이스스터디

아동간호학 신생아실 케이스스터디 간호과정

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아동간호학 신생아실 케이스스터디 간호과정”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Ⅰ. 서론 -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문헌고찰

Ⅲ. 연구기간 및 방법

Ⅵ. 간호과정
1. 간호사정
1) 개인력
2) 건강력
(1) 현병력
(2) 과거력
(3) 가족력
3) 간호력
4) 신체검진
5) 진단을 위한 검사
2. 치료 및 경과
3. 간호과정 적용

Ⅴ.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일부

(1) 아프가 점수
신생아의 즉각적인 자궁 외 생활 적응을 사정하는 방법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초기 사정 방법은 아프가 점수(Apgar) 체계이다. 아프가 점수는 피부색(Appearance), 심박동(Pulse), 자극에 대한 반응(Grimace), 근긴장도(Activity), 호흡을 위한 노력(Respiration)의 다섯가지 항목을 기본으로 한다. 각 항목은 각각 0~2점 배점을 하며 평가는 출생 후 1분과 5분에 시행한다. 총점이 0~3점이면 자궁 외 생활 적응에 심한 곤란을 의미하고, 4~6점이면 중증도의 곤란한 상태, 7~10점은 자궁 외 생활 적응에 어려움이 없는 적절함을 의미한다.

(2) 성숙도 사정
뉴 발라드 사정 척도(New Ballard Score)로 신생아의 재태기간을 간단히 사정할 수 있다. 사정범위는 20~44주이고, 사정은 출생 직후부터 48시간까지 어느 때나 가능하지만 가능한 한 신생아가 안정되고 적응이 되면 즉시 수행한다.

(3) 활력징후 사정
일반적으로 활력징후 사정은 신생아 입원 시와 활력징후가 안정 시까지 4시간 마다, 그 이후부터 퇴원 시까지 8시간마다 측정한다.
체온은 액와·직장·고막체온계를 이용하여 측정하는데, 액와체온은 직장이나 고막체온보다 낮을 수 있다.
맥박수는 보통 120~160회/분이고, 호흡수는 30~60회/분이다. 수(rate), 리듬(rhythm)의 규칙성을 사정하기 위해 맥박수는 청진기로 심첨맥박을 측정하고, 호흡수는 복부으 움직임을 60초 동안 측정한다.
혈압은 안정 시 45~90/40~70mmHg인데, 신생아의 경우 대부분 측정하지 않는다.

(4) 신체계측
- 체중
신생아는 체중의 70~75%가 수분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3~4일동안 체액의 이동으로 체중감소가 있다가 점차 증가한다. 체중감소가 상당히 빨리 나타나므로 출생 직후 바로 체중을 측정하도록 한다.
신생아의 체중은 2,700~4,000g이 정상이고, 평균체중은 3,400g이다.
- 키
신생아는 몸이 굴곡되어 있기 때문에 키를 측정하기 어렵다. 키의 측정은 신생아를 앙와위로 눕히고 머리부터 가능한 다리를 펴고 발뒤꿈치까지를 잰다.

 

참고문헌

심인옥 외, 아동간호학, 2021, 학지사메디컬
박미경 외,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개별적 모유수유증진프로그램의 효과, 2016, 한국간호과학회, p.128~139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아동간호학 신생아실 케이스스터디 간호과정”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