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임신성고혈압 PIH 케이스 간호과정”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Ⅱ. 본 론
1. 문헌고찰
(1) 임신성 고혈압
1) 정의와 분류 및 진단
2) 원인
3) 모체와 태아에 미치는 영향
4) 증상
5) 조기진단, 예방/치료
2. 간호사례
(1) 간호사정
(2) 진단검사
(3) 약물
(4) 간호진단
#1 부종과 관련된 조직관류장애
#2 질환과 관련된 지식부족
Ⅲ. 결 론
1. 실습소감
참고문헌
본문내용일부
임신성 고혈압증의 국내 발생빈도는 총 분만의 5.24%이며 모성 및 주산기 사망과 이환의 매우 중요한 원인 질환 중의 하나이다. 임신중 고혈압은 특히 임신중 출혈 그리고 감염증과 더불어 3대 모성사망의 원인으로서 미국 모성사망의 18%를 차지하며 국내 보고에서는 병원 사망의 0.6%를 차지한다. 임신으로 인하며 그 전까지의 정상혈압의 임부에서 고혈압이 발생할 수 있고 기존의 고혈압 임신부에서 고혈압이 악화될 수 있다. 임신성 고혈압 또는 임신으로 악화된 고혈압 임산부는 단백뇨, 전신성 부종을 동반하며 고혈압을 치료하지 않으면 경련이 일어날 수 있다.
1) 임신성 고혈압의 정의와 분류 및 진단
1. 정의
임신 20주 이후에 발생하는 고혈압성 증후군 임신 중 특별한 원인 없이 임신 중에 고혈압뿐만 아니라, 단백뇨, 부종을 동반하는 고혈압이 발생하는 경우를 말한다. 혈압의 지표는 수축기 혈압이 적어도 140mmHg 이상, 또는 이완기 혈압이 90mmHg 이상일 경우이거나, 아니면 임신 초기와 비교하여 수축기 혈압이 적어도 30mmHg 이상 또는 이완기 혈압이 15mmHg 이상 오르는 경우를 말한다.
2. 분류
-임신성 고혈압 : 임신에 의해 초래된 고혈압으로 분만 후 사라짐
1. 단백뇨나 부종이 없는 경우
2. 자간전증(단백뇨나 부종이 있는 경우)
a. 경증
b. 중증
3. 자간증
-임신 악화성 고혈압 : 임신에 의해 기존의 고혈압이 악화됨
1. 중복 자간전증
2. 중복 자간증
-만성고혈압 : 임신 전 혹은 후에도 존재하는 기존의 만성 고혈압
3. 진단
대개 임신 20주 이후에 생기며, 고혈압만 있는 경우, 고혈압에 동반하여 단백뇨나 병적인 부종이 있는 경우(자간전증), 그리고 고혈압에 동반하는 단백뇨나 병적인 부종이 있으면서 발작이 동반되는 경우(자간증)로 분류할 수 있다. 자간전증은 초산부에서 더 흔하며, 10대나 35세 이상 초산부에서 더욱 흔하다.
임신성 고혈압 진단 시 고혈압이란 정상혈압이었던 여성이 임신 20주 이후에 수축기 혈압 >140 mmHg, 이완기 혈압 > 90mmHg인 경우에 진단할 수 있다.
참고문헌
여성건강간호학 II, 수문사,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
여성건강간호학Ⅱ, 정담미디어, 김혜원 외
KIMS의약정보센터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임신성고혈압 PIH 케이스 간호과정”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
'간호학 케이스스터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동간호학 신생아실 케이스스터디 간호과정 (0) | 2023.10.10 |
---|---|
심부정맥혈전증 Case Study 간호진단5개 간호과정2개 퇴원교육 (0) | 2023.10.10 |
장루 간호과정. 간호진단5개, 간호과정3개!!/결장직장암 사례보고서 [통증, 배설물로 인한 피부자극, 지식부족]] (0) | 2023.10.10 |
간호학과 종합실습 케이스스터디(OS 병동)(간호진단 3개 진단적 치료적 교육적 중재 3개씩) (0) | 2023.10.06 |
TKR 골관절염 케이스(간호진단 7, 과정2) (0) | 2023.1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