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학 케이스스터디

조현병 CASE STUDY_약물,간호과정1개,퇴원교육_자세한 케이스 스터디

안녕하세요!! 평생 행복 하고픈 콘텐츠 마케터 입니다.

오늘은 해피캠퍼스에서 발췌한 “조현병 CASE STUDY_약물,간호과정1개,퇴원교육_자세한 케이스 스터디” 내용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목차

1. 정신질환 약물치료
2. 간호진단의 목록 작성
3. 간호과정
4. 참고문헌

 

본문내용일부

#1 부적절한 대인관계 능력과 관련된 사회적 상호작용 장애
사정
주관적 자료
(1) (친한 병동 환자분 있으세요?) “없어.”
(2) “여기 사람들은 나를 좋아하지 않아.”
(3) “친해지고 싶은 마음은 있지.”
객관적 자료
(1) 진단명:
Undifferentiated Schizophrenia
(2) 병동 환자와 눈이 마주치면 눈을 피하며 자리에서 일어남.
(3) 병동 환자와 대화, 감정교류 거의 없으며 혼자 병실 배회함.
(4) 중학교 2학년 발병 후, 병원 입퇴원 반복하여 친구가 전혀 없음.
간호진단
부적절한 대인관계 능력과 관련된 사회적 상호작용 장애
간호진단을 내린 이유: 퇴원을 앞두고 있는 환자로, 오랜 병원 생활로 인하여 형성된 대인관계가 전혀 없는 환자다. 올바른 대인관계능력을 길러 이전 수준으로의 기능을 회복시킴으로써 Maslow의 3단계 욕구(사랑, 소속감의 욕구)를 해결할 수 있다.
기대되는 결과
단기목표
1. 대상자는 3일 이내에 타인에게 대화를 먼저 건다.
2. 대상자는 1주 이내에 타인과 함께 하는 행위에 대해 긍정적인 표현을 한다.
장기목표
1.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자발적으로 타인과 사회적 상호작용을 한다.
간호중재
간호계획
간호수행
이론적 근거
1. 대상자와 치료적 관계를형성한다.
1. 치료적 의사소통 기술을 이용하여 환자으로부터 신뢰감을 얻고 치료적 관계를 형성한다.
(“친구가 없어요.”라는 말에 무비판적인 태도로 고개를 끄덕이며 그럴 수도 있다고 수용하였다.)
1. 대상자와 친근감을 유지하고 원만한 인간관계를 형성하여 신뢰감을 얻어야 간호제공의 효과를 볼 수 있다.
(치료자가 수용적 태도를 제공함으로 환자는 대인관계에 대한 공포감 및 거부감을 완화할 수 있다.)
2. 대상자의 대인관계 정도 및 능력을 관찰하고 사정한다.
2. 대상자의 대인관계 정도 및 능력을 관찰하고 사정하였다. 대부분의 시간을 혼자 보내며, 다른 대상자와 대화하고 싶으나 어렵다고 하였다.
2. 대상자의 대인관계 정도 및 능력을 사정함으로서 현재 상태에 맞는 단계적 치료적 상호작용을 계획할 수 있다.

 

참고문헌

공성숙 외, 정신건강간호학(7판), 2022, 군자출판사
약학정보원
드러그인포

해당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조현병 CASE STUDY_약물,간호과정1개,퇴원교육_자세한 케이스 스터디” 으로 해피캠퍼스에서 확인해 보세요.